2011년 1월 30일 일요일

1월 수도권 월세가격 0.2% 상승…안정세 유지

국토부, 1월 동향 발표…강북14구·인천 `공급이 수요보다 많거나 비슷`

수도권 월세가격이 가을 이사철 이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토해양부는 이달 수도권 월세가격 동향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월에 비해 0.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가을 이사철에 상승폭이 확대됐지만 9~10월 이후 안정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서울(0.2%)과 경기(0.4%)는 소폭 상승한 반면, 인천(-0.4%)은 하락했다. 유형별로는 단독(0.1%), 연립·다세대(0.2%), 아파트(0.4%), 오피스텔(0.4%) 순으로 상승폭이 컸으며 서민들이 주로 거주하는 단독과 연립·다세대가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낮았다.

월세수급 동향관련 설문에서는 수도권 전체에서 `공급이 수요보다 많거나 비슷하다`는 응답이 79.3%에 달했고 `수요가 많다`는 응답은 20.7%에 그쳐 수급상황도 여유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급이 수요보다 많거나 비슷하다고 응답자는 서울 강북이 82.1%, 인천이 97.9%에 달해 서울 강북 14구와 인천은 수급에 여유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수도권 월세가격동향조사 결과는 국토부 홈페이지(http://www.mltm.go.kr)와 온나라 부동산정보 통합포털(http://www.onnara.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국토부는 지난 3일 `수도권 월세가격지수`를 최초 공표했다.


(증시파파라치)뉴스로 접할 수 없는 고급 증권정보 서비스

미분양 41개월만에 8만가구대..수도권 늘어

지방 21개월 연속 감소세


전국 미분양 아파트가 41개월 만에 8만가구대로 떨어졌으나 수도권은 다시 늘었다.

국토해양부는 작년 12월 말 현재 전국 미분양 주택은 8만8천706가구로, 전월 대비 5천833가구(6.2%) 줄어드는 등 7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고 30일 밝혔다.

2007년 7월(9만658가구) 9만가구를 돌파한 이래 41개월 만에 8만가구대로 감소한 것이다.

수도권은 기존 미분양 주택이 일부 팔렸음에도 주인을 찾지 못한 1천414가구가 새로 생겨 미분양 물량이 작년 11월 2만9천189가구에서 12월 2만9천412가구로 223가구(0.8%) 늘었다.

서울지역은 2천842가구에서 2천729가구로 4% 감소했지만, 인천이 4천100가구에서 4천265가구로 4%, 경기가 2만2천247가구에서 2만2천418가구로 0.8% 증가했다.

전세난이 심각하기는 하지만 전세 수요를 매매 수요로 돌리기에는 아파트 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부족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작년 12월 말 현재 지방의 미분양 주택은 11월보다 6천56가구(9.3%)나 줄어든 5만9천294가구로 21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방 미분양이 근래 최대치였던 2008년 12월(13만9천가구)과 비교하면 57% 감소한 것이다.

준공되고도 주인을 못 찾은 "악성" 미분양 물량은 4만2천655가구(수도권 8천729가구, 지방 3만3천926가구)로 전월 대비 3천614가구 감소했다.

국토부는 대한주택보증을 통해 이달 31일까지 지방과 수도권(서울 제외)의 미분양 아파트를 환매조건부로 매입 중이다.

미분양 현황은 국토부 국토해양통계누리(http://stat.mltm.go.kr) 및 온나라 부동산포털(http:/www.onnar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1년 1월 29일 토요일

오피스텔 인기 "쑥", 임대 수익률은 "뚝"

최근 아파트 전세난과 집값 상승 기대감이 낮아지면서 매월 안정적인 수익이 나오는 오피스텔로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그러나 투자수요가 늘어 매매가격이 뛰는 바람에 투자금 대비 임대수익률은 오히려 떨어져 "묻지마 투자"는 주의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는 27일 "지난해 말 기준 서울시내 오피스텔의 임대수익률(세금 제외)은 연 5.73%로 전년보다 0.2%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임대수익률은 1년 동안 월세로 받는 수입을 매입 비용(매입가격에서 보증금을 뺀 금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예컨대 오피스텔을 1억원에 사서 보증금 1000만원, 월세 30만원에 임대를 놓고 있다면 임대수익률은 4%가 된다.

서울의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2006년 6.54%를 기록한 뒤 2009년에 처음으로 6%대 밑으로 떨어지는 등 4년 연속 하락하는 추세다. 경기지역 역시 지난해 6.4%로 3년 연속 하락했고, 인천은 7.52%로 3년 연속 올랐다.

임대수익률이 떨어진 이유는 오피스텔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매매가격이 뛰었기 때문이다. 부동산114 조사 결과, 지난해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전년 말 대비 2.47% 상승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는 1.01% 하락했다. 부동산114 김규정 본부장은 "월세는 무작정 올리기 힘든데 매매가격이 뛰어 투자금이 늘어나면 수익률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서울에서 임대수익률이 높았던 지역은 성북구(7.83%)·은평구(7.07%)·동대문구(6.94%)·강북구(6.80%)·금천구(6.71%) 등 매매가격이 낮은 곳이 대부분이었다.

전문가들은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이 더 떨어질 수도 있다고 본다. 매매가격 상승 외에 최근 공급량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전국에서 분양된 오피스텔은 8000여 실로 2004년(1만2000여실)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상반기 공급 물량도 4400여 실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0%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김 본부장은 "오피스텔은 초기 자금이 아파트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들고 아직까지 임대수익률도 아파트보다는 높아 매력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서울지역 아파트의 임대수익률(3.16%)은 오피스텔보다 2.5%포인트 낮았다.

1559세대 역세권 알짜 프리미엄 `상도 엠코타운’

고르고 골라서 선택한 그곳
수도권 중심부 보기드문 대단지 프리미엄아파트
1559세대 역세권 알짜 프리미엄 `상도 엠코타운’

- 상도역 알짜 역세권
- 대형마트 이용 편리성
- 대단지 커뮤니티 시설의 특화
서울 동작구 상도동 일대에 대지면적 7만 9000㎡, 지하3층, 지상10∼18층, 22개동의 ‘엠코타운’이 상도동의 랜드마크로 조성중이다. 현대자동차그룹 건설회사인 현대엠코가 최근 상도동 일대에서 추진 중인 지역주택조합의 재개발 아파트 건설사업의 수주를 통해, 상도동에 2,441세대의 프리미엄 대단지를 선보이게 된 것이다.

2,441세대 대단지속 알짜 들여다보기
‘상도 엠코타운’은 총 2,441세대 대단지로 서울에서도 보기 드문 대단지아파트이다. 특히, ‘상도 엠코타운’은 총 1,559가구의 대규모 특급 재개발 단지로, 인근에 개발되는 노량진뉴타운과 흑석뉴타운의 프리미엄, 제2의 강남이라 불리는 상도동에 위치, 지하철 7호선 숭실대역과 상도역의 특급 역세권, 서울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대단지 등 각종 호재들이 넘쳐난다. 이 밖에도 노량진 수산복합테마파크와 노량진 민자역사의 생활인프라, 서울의 오페라하우스 한강예술섬의 문화적 혜택 등 향후 ‘상도 엠코타운’의 가치를 상승시킬 좋은 재료들이 풍부하다.

특히 1559세대 상도엠코타운을 눈여겨볼만한 점은 단지 바로 앞 도보 2분 거리에 지하철 7호선 숭실대입구역이 위치한 초역세권이다. 뿐만 아니라, 9호선 노들역, 경전철 서부선(2017년 개통예정), 관악로, 장승배기로, 상도터널, 올림픽대로, 여의도 고가도로가 인접한 교통요충지이다.

국사봉중, 구암중, 장승중학교 등이 단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자녀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학할 수 있으며, 고교 선택제로 달라진 입시제도에 따라, 지하철7호선과 9호선을 통하여 세화고, 세화여중고, 반포고, 영동고, 경기고 등의 명문 8학군들을 쉽게 만날 수도 있다. 노량진 학원가를 비롯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명문대학교들도 단지와 밀집되어 있는데, 서울대, 중앙대, 숭실대, 총신대 등 최상의 교육환경을 갖추었다.

‘상도 엠코타운’은 단지 옆 3면이 26만여㎡의 상도근린공원으로 둘러싸여, 녹색 자연을 누리는 청정생활 프리미엄까지 갖췄다. 또 국립현충원, 오페라하우스가 들어설 예정인 노들섬과 한강시민공원, 보라매공원 등 도심에서도 자연을 벗하는 쾌적한 자연환경을 향유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도서관, 중앙대부속병원 등이 단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고 있어 보다 편리한 도심생활을 누릴 수 있다. 서울 도심에서는 이례적으로 주차장을 100% 지하화 했고, 거실과 각 방마다 세대별 기계식 환기시스템, 내차 위치 찾기 등 첨단 주차통합시스템을 갖춘 주차장, 종로학원 온라인 무료수능교육 서비스 등 특화시스템이 적용된다.

중후한 품격, 화려한 칼라, 최고의 생활공간 118㎡
‘계약조건보장제’의 실시에 따라 큰 혜택을 보는 118㎡ 타입은 성장한 자녀 또는 3세대가 거주하는 중장년세대를 타깃으로 자연친화적인 공간디자인이 돋보인다. 특히 다양한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선택형 평면 계획이 가능한 가변형 침실을 설치함은 물론, 부부 침실내에 대형욕실 및 파우더룸과 드레스룸을 꾸며 여유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통풍과 채광이 좋도록 4Bay구조의 판상형타입(A타입 제외)으로 최고의 생활공간으로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품격 높은 공간을 연출하고 있다.

이번 ‘계약조건보장제’를 적용한 118㎡ 타입은 중대형이란 점을 고려할 때, 구매자들의 실질적인 구매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한 것과 더불어 제품의 질적 측면에서도 ‘현대엠코’ 브랜드의 자존심을 걸고 내부 설계와 인테리어에 중점을 두었다. 이처럼 ‘현대엠코’는 118㎡ 타입에 대해, 상도동에서 볼 수 없는 최고의 아파트로 손색이 없도록 하겠다는 자신감을 나타냈다.

청약통장無, 중도금60% 이자후불제, 계약금정액제, 전매무제한…
‘상도 엠코타운’은 이렇게 고객들을 위하여 좋은 조건의 열린 기회, 즉 각종 분양혜택을 제공함으로써, 다소 주춤한 경제적 분위기 속에서도 아파트를 고르는 소비자들이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내집마련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계약조건보장제’ 외에도 여러 가지 소비자들에게 유리한 분양 조건을 제시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신규 분양아파트의 계약금은 10%인 것에 반해, 이번 ‘상도 엠코타운’은 계약금을 분양가의 5%이하로 낮추고 84㎡은 2천만원, 118㎡은 3천만원으로 계약금 정액제를 실시, 중도금 60% 이자 후불제를 통하여 계약자들의 초기자금 부담을 최소화시켰다. ‘상도 엠코타운’은 청약통장이 필요없고 선착순으로 자신에게 유리한 동·호수를 지정할 수 있고 아파트 분양권도 계약 즉시 무제한으로 전매가 가능하다. 분양가격은 3.3㎥당 최저 1,977만원~최고 2,159만원의 가격대(118㎡ 기준)를 형성하고 있다. 입주는 2012년 9월. 7호선 장승배기역 6번 출구 인근에 모델하우스를 열고 조합원분을 제외한 84㎡과 118㎡을 일반분양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끌고 있다.

‘계약조건보장제’와 많은 혜택으로 관심받고 있는 ‘상도 엠코타운’ 지금과 같은 중대형아파트의 가치 하락 속에 오히려 소비자의 입장에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오히려 지금과 같은 불황기에 중대형아파트로 갈아탈 수 있는 적기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량진뉴타운과 흑석뉴타운의 후광을 배경으로, 여의도, 용산, 강남의 생활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친환경 프리미엄아파트 ‘상도 엠코타운’은 소비자들에게 유리한 파격적인 투자조건은 물론, 주변 환경, 생활 인프라 등 향후 가치를 상승시킬 호재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향후 기대가치를 더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가져볼만 하다

2011년 1월 28일 금요일

설 이후 아파트 분양시장 활기

설 이후 아파트 분양시장이 활기를 띨 전망이다.

2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보금자리주택 본 청약이 마무리된 데다 전세난으로 신규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건설사마다 설 이후 상반기에 공급량을 대폭 늘린다.

부동산1번지에 따르면 건설사들의 월별 공급계획물량을 집계한 결과 3월에 2만2448가구로 가장 많은 물량을 쏟아낼 것으로 분석됐다. 4∼5월도 1만여구가 넘는 가구가 공급대기 중이다. 특히 3월에는 2년 가까이 신규공급이 없던 한강신도시에서 동시분양이 추진 중이며,부산, 울산 등을 비롯해 혁신,기업도시에서도 분양을 앞두고 있다.

분양시기를 잡지 못한 단지들의 경우 다음달 분양되는 광교나 판교 등 유망단지의 청약결과에 따라 월별 공급량이나 분양가 수준이 조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인기지역과 비인기지역의 양극화 현상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낮은 분양가와 소형평형 및 지방 부동산이 올 상반기 분양시장에서 주목받을 전망이다.이에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요자들로부터 주목받는 부산이나 울산 등 배후수요가 뒷받침되는 지방 아파트 신규분양 청약경쟁률이 지난해에 이어 올 상반기에도 높게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택청약종합저축이 도입된 지 2년이 되면서 청약통장 1순위자가 대거 배출된다. 이에 따라 인기단지에 청약 쏠림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부동산1번지 관계자는 “청약경쟁률이 높다고 해서 휩쓸리듯 신규주택을 분양받으면 그동안 어렵게 쌓아온 청약통장을 버리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역세권이 아니라도 도로나 학교 배치를 살펴보고 가격상승여력이 있는 개발호재 지역인지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견건설사 "올해도 미분양 무섭다"..공급 축소

주택공급의 한 축을 담당했던 중견건설사들이 올해도 미분양 부담 때문에 공급물량을 줄인다. 대부분 3~4개 사업장에서 물량을 내놓고 이마저도 재개발·재건축이 많다.

▲ 시공능력평가 10~20위 건설사 아파트 공급계획

28일 이데일리 조사에 따르면 올해 시공능력순위 11~20위 건설사는 35곳의 사업장에서 총 2만7315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며 이중 일반분양 물량은 2만534가구로 나타났다.

◇ 10~20위권 건설사, 2만7천가구 공급

한화건설은 올해 수도권 및 지방의 우량 사업지를 중심으로 `꿈에그린` 총 78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며 이중 7389가구를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대단지 사업장으로는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2620가구), 수원시 오목천동(2157가구), 대전 노은지구(1885가구), 용인시 상현동(556가구) 등이다. 서울 도시정비사업으로는 정릉동 재개발(299가구)사업과 노원구 중계동 재건축(283가구)사업이 예정돼 있다.

금호산업(002990) 건설부문(금호건설)은 총 3954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며 이중 일반분양분은 3206가구다. 주요 사업장으로는 ▲경기도 평택시 용이동(2032가구)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주상복합아파트(999가구) ▲서울 돈암동 재개발(490가구) ▲서울 옥수동 재개발(297가구) ▲안양시 호계동 재건축(143가구) 등이다.

쌍용건설(012650)은 3곳에서 1615가구를 공급할 계획으로 이중 1516가구를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경기 남양주 화도읍(807가구)과 대구 침산동(662가구) 도급사업, 서울 염창동 재개발(146가구) 등이다.

동부건설(005960)은 7곳에서 2721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중 1540가구가 일반분양 대상이다. 자체 사업은 인천 계양 센트레빌2·3단지(710가구)가 유일하며, 나머지는 서울 홍은동 재개발(458가구), 응암동 재개발(345가구), 신정3동 재개발(289가구), 은평구 신사동 재건축(269가구), 경기도 남양주 도농동 재건축(417가구) 등은 재개발·재건축 도급사업이다.

경남기업(000800)은 4곳에서 1472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4곳 사업지 모두 재개발로 서울 봉천 12-1구역(519가구)과 봉천 13구역(292가구), 인천 학익2구역(301가구), 경기 고양1-2구역(260가구) 등이다.

◇ 재개발·재건축 도급사업 주력

현대엠코는 4곳에서 41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며 이중 2432가구가 일반분양 대상이다. 대부분이 지방의 도급공사와 조합사업 물량이다. 부산 초장동(1954가구)과 충남 당진 송산면(855가구), 아산 배방면(542가구), 전주 평화동(510가구), 안양 석수동(239가구) 등이 있다.

코오롱건설(003070)은 4곳에서 3629가구를 공급할 계획으로 이중 2936가구가 일반분양 대상이다. 경기도 평택시 장안동(1943가구) 도급사업과 대구 파동 재건축(832가구), 서울 쌍문동 재개발(293가구), 돈암동 재개발(561가구) 등이다.

분양시장이 좀처럼 살아날 조짐을 보이지 않으면서 아직까지 올해 주택사업 규모를 확정하지 못한 업체도 있다.

한진중공업(097230)은 내달 경기도 광명시 광명6동 재건축(1267가구)만을 확정한 상태며 한라건설(014790)도 김포한강신도시 Ac-12블록(857가구) 단독사업만을 예정했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올해도 주택경기 불확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분양계획을 시장 분위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잡은 회사들이 많다”고 말했다.

2011년 1월 27일 목요일

한눈에 보는 2011년 부동산 시장 주요 이슈

1월 강남 보금자리본청약~12월 분당선(연장)개통 까지
얼음장 같았던 2010년 부동산시장이 마감됐다. 새해의 시작과 함께 부동산 제도 변경, 교통망 확충 등 개발 호재가 이슈가 되고 있다. 1월 보금자리 본청약을 시작으로 4월 지방 세제감면 종료, 9월 신분당선 개통, 그리고 연말 세종시 첫 입주까지. 올 한해 부동산시장 향방에 영향을 미칠 만한 것들은 무엇인지 수요자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부동산114(www.r114.co.kr)에서는 신묘년 새해를 맞아 상품 및 월별로 부동산 주요 이슈를 살펴봤다.




▶▶ 세금 & 금융

올 1월부터는 3주택 이상 다주택자이고 전세보증금 총액이 3억 이상이면 소득세를 내야 한다. 신설된 세제로 이 조건에 해당하면 부가비용이 발생되는 셈이니 집주인은 잘 알아둘 필요가 있다. 자칫 세부담이 세입자에게 전가될 수도 있기 때문에 거주주택의 재계약 및 새로운 전세 주택을 구하고자 할 때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취·등록세 50% 감면혜택은 2011년 말까지 연장됐다. 단, 9억원 초과 분은 감면혜택이 작년 말까지로 이미 종료됐으니 주의하자. 작년 말 9억원 초과 고가주택 수요자들이 취·등록세 감면혜택을 받기 위해 막판 움직임이 많았던 것을 돌이켜 보면 올 연말에도 이 같은 움직임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
8.29대책으로 DTI규제가 한시적으로 폐지됐던 것이 3월 말 종료된다. DTI규제 폐지가 종료됨으로써 매수세 위축이 나타날 가능성도 적지 않다. 4월에는 지난해 일몰 연장된 지방 미분양 취·등록세 및 양도세 감면 혜택이 종료된다.

▶▶ 교통망 확충

지하철, 도로 등 새로운 교통인프라는 집값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1월 제2자유로(파주~상암) 개통을 시작으로 4월에는 용인 경전철이 개통을 앞두고 있다. 9월에는 강남~정자를 잇는 신분당선이 개통한다. 9호선 개통 이후 기대치가 가장 큰 노선 중 하나이다. 연말에는 죽전~기흥을 잇는 분당선 연장구간이 개통을 앞두고 있다. 강남권과 용인지역을 중심으로 新역세권이 형성되는 만큼 그에 따른 기대감도 크다.

▶▶ 주요 개발 계획

2월에는 강남 개포지구 재건축 지구단위계획이 확정된다. 시장 자체에 큰 호재가 없기 때문에 지구단위계획 확정에 따른 가격 향방에 관심이 모아질 예정이다. 10월에는 경인 아라뱃길이 개항을 앞두고 있다. 인천 오류동~서울 개화동을 오가는 구간이다. 같은 달 인천에는 또 하나의 호재가 있다. 인천 제3연륙교의 착공이 추진될 예정이다. 인천 제3연륙교는 인천과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를 잇는 세번째 다리로 오는 2014년 말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 분양 계획

2009년 10월 첫 선을 보인 강남·서초 보금자리 시범지구가 1월 본청약에 나선다. 이미 입지적 장점이 있는 곳인데다 사전예약 당시보다 저렴해진 가격으로 공급될 예정이어서 본청약의 열기는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5월에는 1순위 자격을 얻는 500만명의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들이 탄생한다. 때문에 6월 본청약을 앞둔 위례신도시 보금자리주택의 본청약의 경쟁률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앞서 5월에는 서울 양원·하남감북 등 4차 보금자리 사전예약이 진행된다. 이어 9월에는 고양 원흥·하남미사 보금자리주택의 본청약이 예정돼 있다.

보금자리주택 본청약 말고도 이미 입지가 검증된 도심재건축·재개발 단지의 분양도 앞두고 있다. 5월에는 화곡3주구, 9월에는 답십리16구역, 10월에는 북아현1-3재정비촉진구역 등이 분양을 계획하고 있다.

▶▶ 입주 임박

올해 새 아파트 입주물량은 작년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그렇다면 올해 수도권 새아파트는 언제, 어디에 공급될까. 주요 입주예정단지를 살펴보면 2월 고양 덕이지구에 3천여 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3월에는 세곡지구, 광명역세권지구의 입주가 계획돼 있다. 하반기에는 광교신도시의 첫 입주가 시작된다. 스타트는 울트라참누리가 끊는다. 연말에는 세종시 첫마을 퍼스트프라임 입주가 예정돼 있다.
본래 새아파트 입주를 앞두고 가격은 약세를 보였으나 요즘처럼 전세시장이 고공행진을 하는 시기에는 몇 개월 전부터 전세물건을 선점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이사계획이 있는 수요자들은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발 빠르게 움직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10명 중 7명 "아파트 살 때 특정 브랜드 선택할 것"

■ 아파트 거래 및 청약할 때, 재건축-재개발 사업시 특정 브랜드 원해 "70%안팎"
■ 신규분양 브랜드 민감도 높고, 재건축 재개발 수주 경쟁 심화 전망
■ 인기지역, 소형주택 공급했던 도심 브랜드 인지도 높아져
■ TV광고 통한 브랜드 인지율 높아, 브랜드 TV광고 중요해진다
* 이하 기사 중의 브랜드 나열은 모두 가나다순 입니다

부동산114가 지난 2010년 12월 13일부터 26일까지 전국 1460명을 대상으로 <2010년 아파트 브랜드 선호도 및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10명중 7명이 특정 아파트 브랜드를 선택하겠다고 답했다. 특히 신규분양단지에 청약을 계획 중인 응답자가 브랜드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도권 거주자를 중심으로 재건축이나 리모델링, 재개발 추진 시에도 특정 브랜드를 선택하겠다는 응답이 70%대로 높게 나타났다. 재건축, 재개발 사업의 시공사 수주전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한편 응답자의 90.4%가 "브랜드가 아파트 가격 상승에 영향을 준다" 고 응답해 여전히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관심과 가격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브랜드를 인지하는 경로로는 TV광고를 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TV광고가 호평을 받은 주요 브랜드들의 선호도가 높아져 눈길을 끌었다. 연령대 별로는 젊은 층의 경우 인터넷이나 모바일 등을 통해 브랜드를 접한다는 응답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젊은 층을 겨냥한 상품의 경우에는 모바일이나 웹 광고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선호도 및 인지도가 높은 10대 브랜드로는 전년도와 동일하게 ◇래미안 ◇센트레빌 ◇아이파크 ◇위브 ◇자이 ◇캐슬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the #(가나다순)이 이름을 올렸다. 도심, 강남권 인기지역이나 소형주택 공급이 많았던 브랜드의 인지도 상승이 두드러졌고 지역별 순위는 조금씩 달라 지역별 선호도 차이도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0년 아파트브랜드 인지도 및 선호도 조사]
조사기간 : 2010년 12월 13일~12월 26일 (14일간)
조사방법 : 이메일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
조사대상 : 부동산114 개인회원(수도권-지역별, 연령별 인구비례할당 적용)
대상브랜드 : 총 60개 도급순위별 아파트 브랜드 보유 건설업체 중 부도업체 및 워크아웃 대상 건설사 제외한 41개 건설업체 대상
표본수 : 1,460명(수도권 973명, 지방 487명)
연령대 : 20대 8.7%, 30대 44.5%, 40대 29.5%, 50대 이상 17.3%
표본오차 : ±2.56%포인트 (95% 신뢰수준)

--------------------------------------------------------------------------------------------------

-브랜드 인지도 및 선호도-
아파트 브랜드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브랜드는 무엇입니까" 라는 질문에는 ◇래미안 ◇자이 ◇푸르지오가 전년도에 이어 전국 기준 Top3를 지켰다.
전년대비 인지도가 증가한 주요 브랜드는 "래미안", "e편한세상", "아이파크", "센트레빌", "위브" 등으로 나타났다. 인지도 증가폭이 컸던 브랜드는 주로 지방권보다 수도권 분양물량이 많았고 2010년 한 해 동안 관심을 끈 소형주택을 도심권 공급한 경우가 많았다. 특히 2010년 한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분양단지가 많았던 e편한세상의 상승세가 두드러졌고 오피스텔을 공급했던 아이파크나 센트레빌의 증가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지속된 부동산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전년도에 비해 주요 브랜드들의 보조인지도가 대부분 상승했는데 중견건설사 사업이 줄면서 주요 우량 건설사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선호하는 아파트 브랜드를 묻는 질문에는 ◇래미안 ◇자이 ◇e편한세상 순으로 TOP3를 형성했다. 전년도 조사에 비해 e편한세상이 3위권에 진입했는데 "광고가 마음에 들어서"를 선호 이유로 꼽은 응답자가 많았다.
선호도 및 인지도가 높은 10대 브랜드로는 전년도와 동일하게 ◇래미안 ◇센트레빌 ◇아이파크 ◇위브 ◇자이 ◇캐슬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the #(가나다순)이 이름을 올렸다.

-브랜드 영향력-
부동산 거래시 특정 브랜드를 선택하겠다는 응답은 여전히 70% 안팎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파트 분양이나 기존 아파트 구매 시(69.7%), 재건축이나 리모델링 시(79.0%), 재개발 시(73.5%) 모두 브랜드 민감도가 높은 편이었고 지방보다 수도권에서 브랜드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90.4%가 브랜드가 아파트 가격 상승에 영향을 준다고 답해 아파트 브랜드 영향력이 여전히 큰 것으로 드러났다. 전반적으로 지방에 비해 브랜드에 대해 높은 인지도와 상기도를 가진 수도권지역 거주자가, 또한 월평균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아파트 브랜드가 가격에 영향을 끼친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브랜드 인지 경로-
브랜드 인지 경로는 TV광고가 45.3%로 가장 높고 특히 대중매체를 통한 브랜드 인지가 61.7%로 과반수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젊은 연령층의 수요자일 수록 인터넷, 온라인, 스마트폰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가 높고 50대 이상의 높은 연령층에서는 신문이나 잡지, 브로셔 책자 등을 통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를 인지하는 데는 최신설비나 우수한 디자인(36.4%), 브랜드 명(27.2%), 이야기가 있는 광고 메세지(22.6%) 순으로 꼽았다. 젊은 연령층일 수록 이야기가 있는 광고 메세지에 반응이 높았다. 최근 기업의 독특한 개성을 보여주거나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스토리텔링이 관심을 끌면서 브랜드 인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2011년 1월 26일 수요일

경기도, `준공후 미분양` 임대전환 추진

최근 수도권 전세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준공후 미분양아파트를 전·월세 임대로 전환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경기도는 최근 50여개 민간건설사와 회의를 갖고, 도내 준공후 미분양아파트 7552가구중 일부를 임대로 활용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27일 밝혔다.

도는 "미분양주택을 임대로 전환하면 세입자에게는 전셋값 상승으로 인한 걱정을 덜어주고, 사업자들에게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금융비용 부담을 줄여주게 된다"고 말했다.

도는 임대주택으로 현재 400~500여가구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으며, 추가 임대물량 확보를 위해 관할 시·군에 통보해 민간건설사의 준공후 미분양 임대전환 수요조사를 진행 중이다.

도 관계자는 "그동안 공급이 집중된 수원과 용인, 남양주 등의 지역에서 준공후 미분양 임대전환 물량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이달말까지 수요조사를 진행하고, 2월중으로 지역별로 임대전환이 가능한 아파트를 집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민간건설사와 별도로 경기도시공사가 소유한 준공후 미분양 262가구(김포 142가구, 파주 120가구)를 오는 4월부터 전·월세로 공급할 예정이다.

개포주공 지구계획 앞두고 ‘들썩’

"월요일(지난 24일) 하루 동안에만 4건이 거래됐습니다. 보름 전까지만 해도 거래가 단 한 건도 없었는데 지난주부터 매수문의가 늘고 거래가 속속 이뤄지고 있네요."(서울 개포동 주공1단지 정애남공인 관계자)

"다른 지역에서 집을 판 실수요자들이 많이 찾습니다. 규모가 큰 주택보다는 재건축 후 110㎡정도를 배정받을 수 있는 40㎡ 안팎의 매물을 많이 찾습니다."(인근 부자공인 관계자)

서울 강남권의 대표적인 저층 재건축단지인 개포주공 아파트값이 최근 들썩거리고 있다. 서울시는 내달 초 개포지구 393만㎡ 일대 32개 단지 2만4000여가구에 대한 지구단위계획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연일 매수세가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일주일 새 3000만원 뛰어

25일 현지 중개업소 등에 따르면 개포 주공아파트에 지난주부터 매수세가 대거 유입되면서 최근 일주일 새 10여건이나 아파트 거래가 이뤄졌다. 개포동 주공1단지 인근 정애남공인 관계자는 "지구단위계획이 확정되면 재건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호재가 이미 알려졌는데도 매수자들이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로인해 가격이 불과 일주일 만에 2000만∼3000만원씩 올랐다"고 말했다.

실제 주공1단지 36㎡는 지난주 초까지만 해도 6억7000만원에 거래됐지만 최근에는 호가가 7억원으로 올랐다. 42㎡도 지난주 초 실거래가격이 8억원이었지만 지금은 8억1500만원이다. 이렇듯 짧은 기간에 가격이 상승했지만 매수세는 계속 일고 있다.

현지 부자공인 관계자는 "매수 상담자들 중에는 지구단위계획을 구체적으로 들며 이미 매수를 결정하고 오는 사람들이 많다"며 "단지마다 사겠다는 사람들은 많은데 매물이 적어 호가가 계속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타지역서 실수요자들 유입 많아

개포 주공아파트 매수자들은 대부분 외지의 집을 팔고 강남권으로 진입하려는 중산층 실수요자들이다.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한시적으로 풀리자 살던 집을 처분하고 강남으로 몰리고 있는 것. 정애남공인 관계자는 "매수자들 중에는 재건축 후 110㎡ 정도의 아파트를 배정받을 수 있는 소형 아파트를 많이 찾는다"며 "매입 후 5년만 지나면 새 아파트로 이사갈 수 있는 데다 매입비용과 추가분담금을 합치더라도 10억원 정도면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적으로도 매력을 느끼고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실제 개포 주공1단지 조합이 제시한 재건축 사업성 분석 내용에 따르면 1단지 36㎡를 매입할 경우 82㎡는 추가분담금 없이 무상으로 입주가 가능하고 109㎡는 추가분담금 3억7000만원을 내면 입주할 수 있다. 현재 36㎡가 7억원 수준에 거래가 되고 있어 여기에 추가분담금 3억7000만원을 보태 10억7000만원이면 재건축 후 109㎡에 입주할 수 있다는 얘기다.

현지 중개업소 한 관계자는 "인근의 도곡렉슬 같은 면적대가 현재 12억원 이상, 반포래미안은 15억∼16억원대에 거래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매수자들도 사업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며 "이 때문에 가격이 계속 올라도 대기 매수자까지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지구단위계획 확정 땐 본격 재건축

개포지구는 총 393만여㎡로 32개단지 2만4000여가구가 있다. 서울시는 내달 초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지구단위계획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구단위계획이 확정되면 5층 이하 저층아파트 단지인 개포주공 아파트는 기부채납을 할 경우 용적률이 235%까지 올라가고 임대아파트를 건립할 경우 250%까지도 가능해진다. 고층단지는 허용용적률 250%에 임대아파트를 건립할 경우 용적률이 300%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미 조합설립 인가를 마친 개포주공 1단지는 자체적으로 정비구역 지정 변경을 실시하고 추진위 단계의 개포주공 2∼4단지는 정비구역 지정과 조합설립 인가 등의 절차를 밟게 된다. 업계에서는 내달 초 서울시의 최종 승인이 나면 개포지구 재건축 사업이 저층아파트를 중심으로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부동산114 김규정 본부장은 "가격이 상승하고 있지만 아직 사업성이 있는 단지인 데다 송파구 가락시영아파트의 `종상향`이 확정되면 개포지구도 같이 적용을 받을 것"이며 "이에 따라 가격도 계속 강세를 띨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2011년 1월 25일 화요일

소형 임대사업 동작·관악구에 주목

1인가구 증가폭 커…공급은 강남3구에 몰려 엇박자


서울에서 1인 가구가 빠르게 늘고 있는 곳은 동작ㆍ금천ㆍ관악구 등 서남권이지만 소형 아파트 공급은 강남 3구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가 2010년 인구주택 총조사 잠정집계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동작구는 5년 전 20.5%였던 1인 가구 비중이 27.1%로 늘었고 같은 기간 금천구 1인 가구 비중도 21.4%에서 26.4%로 늘었다.

관악구는 32.6%이던 1인 가구 비중이 37.4%로 증가했다.

동작구는 교통환경이 개선되고 지하철 9호선 개통으로 강남 접근성이 좋아져 1인 가구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금천구에서는 서울디지털단지에 직장을 둔 사람들의 수요가 늘었고, 관악구는 고시생이나 대학생, 직장인 임대 수요가 꾸준해 소규모 가구 증가세가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 지역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오피스텔 연간 임대수익률이 6% 이상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단독ㆍ연립주택 비중도 높아 소형 임대사업지로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는 것이 전문가들 지적이다.

2006~2007년 SH공사의 임대아파트 공급 외에는 66㎡ 미만 소형아파트 공급이 없었고 올해도 동작구 91가구를 제외하고는 신규 공급이 없다.

최근 한원건설, 우미건설, 동아건설 등 중견 건설회사를 비롯해 GS건설 등 대형사들도 도시형 생활주택에 관심을 보여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 3구 지역은 2005년에 비해 1인 가구 비중이 1.2~1.8%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서울 서남권보다 상대적으로 소형 아파트 공급은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2007~2008년 송파구 잠실지구에 대규모 재건축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66㎡ 미만 소형 아파트 2050가구가 공급됐다.

강남구와 서초구에서는 최근 5년간 소형 아파트가 각각 682가구와 579가구 공급됐다.

올해도 강남 3구에서는 소형 아파트 942가구 입주가 예정돼 있다.

강남 3구 오피스텔 연간 임대수익률은 2005년 6%대였지만 2010년 12월에는 5%대로 떨어지는 등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최근 매매가격이 상승한 만큼 임대료가 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소연 부동산114 연구원은 "강남 3구는 소규모 가구 선호 지역이기는 하지만 교통 여건 개선으로 강남권 수요가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고 임대수익률도 떨어지고 있는 추세"라며 "임대사업자들로서는 매입자금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하면서 1인 가구 비중이 늘고 있는 서울 서남권역 등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순천-완주 고속도로" 4월 말 완전 개통

서남원-순천은 이달말 개통..전주-순천 71분 소요


전남 순천과 전북 전주를 잇는 "순천-완주 고속도로"가 오는 4월 완전 개통된다.

24일 민주당 서갑원 의원에 따르면 순천-완주 고속도로 예산 1천100억원이 올해 예산에 반영됨으로써 순천시 해룡면에서 전주시 덕진구까지 117Km 구간이 오는 4월 말 완전히 개통된다.

전주-서남원(65.6km) 구간은 지난해 12월 개통됐고, 서남원-순천(47.9km) 구간은 이달 말에, 순천-동순천(4.3km) 구간은 4월 말에 각각 개통될 예정이다.

순천-완주 고속도로는 총 9개 나들목(동전주, 상관, 임실, 오수, 북남원, 서남원, 구례, 황전, 동순천), 3개 분기점(완주, 남원, 순천)으로 설계돼 완공 때까지 총 사업비 2조2천477억원이 소요된다.

순천-완주 고속도로가 완전 개통되면 전주와 동순천 간 차량 운행시간은 기존 2시간9분에서 1시간 11분으로 58분 단축되고, 남원과 순천 간 운행시간이 35분이 채 걸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연간 924억원의 물류비 절감과 118억원의 환경개선 효과가 기대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 및 지역개발 역시 촉진될 것으로 보인다.

서갑원 의원은 "순천-완주 고속도로 개통으로 전주와 순천, 남원과 순천 간에 운행시간이 대폭 단축되면서, 광양항의 물동량이 129%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경제적 효과뿐 아니라 "지리산-남해안 관광벨트" 연계개발 촉진을 가져와 관광수요도 153%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여수세계박람회의 성공적 개최에도 이바지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2011년 1월 24일 월요일

판교ㆍ광교 고급 타운하우스 분양 잇따라

설연휴 이후 판교 · 광교신도시에 입지 여건이 좋은 타운하우스가 잇달아 분양된다.

24일 주택건설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판교와 접한 분당 운중동에서 `운중동 푸르지오 하임` 144채를 선보인다.

작년 분양시장에서 인기를 끌었던 LH(한국토지주택공사) 고급타운하우스 `월든힐스`와 붙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택 자리다.

지하 1층~지상 4층 높이의 11개동으로 구성된다. 앞집 지붕을 마당으로 활용 가능한 테라스형이 36채,나머지 108채는 아파트형이다. 전용면적은 84㎡지만 확장형 구조여서 활용 면적은 107~117㎡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테라스형은 개인 정원 46~57㎡가 추가돼 활용 면적은 160~163㎡에 이른다. 분양가는 7억~9억원 선이다. 판교 동일 평형 아파트 시세는 7억5000만~8억5000만원 선이다. 도시형 생활주택으로 인 · 허가받아 청약통장 없이 분양받을 수 있고 계약 즉시 전매도 가능하다.

분양대행을 맡은 내외주건 김신조 사장은 "은퇴 후 집을 줄여 가려는 중산층 실버세대가 분양 타깃인 만큼 마감재를 고급화했다"고 설명했다.

수원 광교신도시 B7블록에서는 아이에스동서가 `에일린의 뜰` 240채를 선보인다. 앞쪽으로 원천호수공원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고 뒤쪽에는 근린공원이 있다. 테라스형이나 복층형 구조로 설계됐다. 최대 6m의 광폭테라스와 다락방이 주어진다. 지하 3층~지상 4층짜리 28개동에 전용면적 123~145㎡ 크기다.

분양가상한제 대상이며 분양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지금까지 광교에서 가장 비싸게 공급된 주택은 대림건설의 `광교 e-편한세상` 아파트로 3.3㎡당 1390만원이었다. 연립주택 용지 조성원가가 아파트보다 높은 점에 비춰 3.3㎡당 1600만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계약금은 10%로 중도금은 이자 후불제로 대출해 준다. 현지 중개업소들은 "입지는 좋지만 분양가가 부담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판교 운중동 푸르지오 하임

수도권 투자1번지 판교신도시의 마지막 고급 타운하우스

▶ 전용면적 84㎡ 단일평형의 테라스하우스 36세대와 아파트형 108세대, 총 144세대
▶ 배산임수의 양택명당지에 위치한 저밀도 친환경 주거타운
▶ 우수한 강남 접근성과 판교, 분당 생활권의 편의성
▶ 푸르지오 만의 ‘그린 프리미엄’ 적용 및 냉·난방에너지 30% 절감 주택

대우건설이 수도권 부동산 ‘투자1번지’로 꼽히는 판교신도시에 고품격 타운하우스 ‘운중동 푸르지오 하임’을 2월에 분양한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들어서는 운중동 푸르지오 하임은 지하 1층, 지상 4층의 11개동 144세대 규모로 테라스하우스 36세대와 아파트형 108세대로 구성된다. 평형은 수요층이 가장 탄탄한 전용면적 84㎡의 단일구성이며,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고를 수 있도록 7가지 타입의 다양한 평면구조로 설계되었다.

운중동 푸르지오하임은 청약통장이 없이도 분양받을 수 있으며, 계약 즉시 전매가 가능하다.

분양가는 가구당 7~9억 원 선이며, 견본주택은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대우건설 주택문화관 ‘푸르지오밸리’ 4층에 위치한다. 입주는 2012년 3월 예정이다. 분양 문의는 02)567-1003이다.

▶ 배산임수의 양택명당지

운중동 푸르지오 하임은 2010년 청약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판교 월든힐스 부지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국학 중앙연구원 교수사택이 있었던 자리로 청계산, 옹달산 및 운중천이 인접한 배산임수의 양택명당지이다. 풍수지리학적으로는 귀인이 찾아와 부귀영화를 누릴 복지이며, 신선이 불을 밝히고 책 읽기에 열중한다는 선인독서형의 지세로 큰 인재와 부자가 끊임없이 배출될 명당으로 알려져 있다. 1976년, 평소 풍수지리에 관심이 많던 고 박정희 대통령이 이곳을 직접 답사한 후에 길지라고 판단하여 한국학 중앙연구원의 입지로 삼았다는 일화도 있다.

▶ 강남까지 10분대의 접근성과 판교 및 분당 생활권의 편의성

용인~서울간 고속도로, 분당~내곡, 분당~수서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외곽순환도로 등 사통팔달의 편리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어 서울 강남까지 10분대에 진입이 가능할 정도로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연접해 있는 판교신도시와 분당의 생활편의시설의 이용이 편리하다.

단지 인근에는 경기도가 4조 원을 투자해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조성하고 있는 IT클러스터 ‘판교테크노밸리’가 위치해 이를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현재는 삼성테크윈, SK텔레시스, 안철수연구소 등 약 50개 기업이 입주를 마친 상태이며, 2013년까지 총 294개의 기업이 들어서고 16만 4천 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유발하는 첨단 기술 R&D단지가 완공될 계획이다.

▶ 공간을 넓게 쓰는 확장형 평면구조에 더해지는 최고의 조망권

운중동 푸르지오 하임의 분양면적은 전용면적 기준으로 84㎡이지만, 생활에 필요한 발코니를 제외하고 실사용 면적이 약 107~117㎡인 확장형 평면구조이다. 특히 테라스하우스 세대는 개인정원 면적 약 46~57㎡이 더해져 실사용 면적이 약 160~163㎡에 이른다. 또한 넓은 동간거리와 남향배치로 전 세대에서 일조권이 충분히 확보되며, 남쪽은 옹달산, 북측은 청계산이 보이는 최고의 조망권을 가지고 있다. 아파트형 일부 세대는 3면 개방형으로 설계되어 개방감도 뛰어나다.
단지 내에는 입주민들의 안전을 위한 첨단 무인경비시스템이 구축되며, 전 세대에 적외선 감지기 및 지하주차장 비상콜 시스템 등이 설치된다.

▶ 푸르지오의 친환경 상품 전략인 ‘그린 프리미엄’ 적용

운중동 푸르지오 하임은 국토해양부가 고시한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 건설기준과 함께 대우건설의 에너지절감 주거상품인 ‘그린프리미엄’이 적용되며, 냉난방에너지 30% 절감이 가능해져 유지관리비를 낮췄다.

또한 초절수 양변기/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LED조명/ 센서식 씽크 절수기/ 고효율 단열재/ 친환경 DNA 필터/ 대기전력 차단 장치/ 풍량 조절형 다분기 챔버/ 하이브리드 보안등(어린이놀이터)/ 절수형 센서수전(부대시설) 등의 상품이 적용되어 한 차원 높은 쾌적한 친환경 그린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다.

‘그린프리미엄’은 태양광, 대기전력 차단 장치 등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를 주거상품에 도입하여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고객들에게 유지관리비 절감을 통한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며, 친환경 웰빙 주거공간 제공을 통해 고객만족을 실현하고자 하는 대우건설의 의지를 담은 푸르지오의 신개념 상품전략이다.

2011년 1월 23일 일요일

경인 아라뱃길 최대수혜지역 ‘청라 우미건설 린스트라우스’ 잔여세대 파격조건 내놔~

“계약금 5% 중도금 2013년 9월 입주시점까지 전액무이자“
(시스템에어컨6대,거실폴리싱타일,LEDTV,양문형냉장고,빌트인냉장고,이사비무상지원)

공항철도 개통 후 매물 소진, 전세값 상승 잇따라
경인 아라뱃길 개통, 하이테크 개발 본격화 등 개발호재 봇물
인천공항철도 개통으로 서울에서 인천으로의 출근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면서 인천지역이 부동산시장에서 새롭게 재조명 받고 있다. 서울 도심까지 40분대에 이동이 가능해지면서 극심한 전세대란을 피해 수요가 몰리는가 하면 분양아파트 계약이 느는 등 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다.

지난 12월 29일 인천공항철도 2단계 구간의 개통으로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인천공항에서 서울역까지 43분이면 주파가 가능해지자 수도권 전세난민까지 유입되면서 전셋값이 치솟는가 하면 계약문의가 느는 등 부동산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도 "인천지역은 교통여건 개선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어 전세대란을 피해 매입을 고려해볼 만한 지역"이라고 입을 모은다.

그 중에서도 가장 눈길을 끄는 곳은 바로 우미건설의 청라지구 린 스트라우스다. 인천공항철도 청라역 개통호재와 2014년 아시안게임 주경기장 건설, 10월 경인 아라뱃길 호재가 쏟아진 청라지구 내에서도 규모와 입지 면에서 대표적인 랜드마크 단지로 꼽히는 곳이다.

청라지구 중심상업지역 인근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캐널웨이"와 인접해있어 편리함과 쾌적함을 두루 갖췄다. 현재 공사중인 경인고속도로 서인천IC∼청라지구간 직선화사업이 진행중이며 제2외곽순환도로 인천구간도 개통 예정에 있어 향후 교통여건도 더욱 개선될 전망이다. 특히, 단지 내에는 금융기관, 병·의원, 대형마트, 레스토랑 등 다양한 상업시설이 입점할 예정이어서 One-Stop 생활이 가능하다. 상업시설을 도로변으로 일자 배치하여 중심상업지역과 이어지도록 함으로써 유동인구를 최대한 늘린다는 계획이다.

"린 스트라우스"는 지하 1층∼지상 41층 아파트 4개동 및 지하 2층∼지상 42층 규모의 오피스텔 1개동에 연면적 13,200여㎡의 판매시설로 이뤄진다. 이 중 아파트는 전용면적 △101㎡ 283가구 △125㎡ 229가구 △138㎡ 78가구 등 총 590가구로 구성되는데 아파트와 오피스텔, 상가가 분리돼있고, 주차공간도 100% 지하화하여(판매시설지역 제외) 쾌적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약 90%의 세대에 100m가 넘는 조망 거리를 확보하고 축구장 크기의 중앙광장을 만들어 조망권과 개방감을 극대화하도록 설계했다. 또, 최고 41층의 초고층의 건물을 고려하여 중간에 피난층을 겸한 공원을 동별로 2개소씩 고층세대의 휴게공간도 만든다.

세대 내부도 청라지구에서 보기 드물게 전 세대 천정의 높이를 2.5m로 설계하는 한편 50% 넘는 세대도 3면 개방형으로 설계하는 등 집안팎으로 확트인 조망과 쾌적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특징이다.

단지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최상층에는 입주민 공용 펜트하우스와 스카이라운지를 선보인다. 기존의 평범한 게스트하우스 수준을 넘어 전망이 가장 좋은 최상층에 시공되며, 하늘을 바라볼 수 있도록 실내정원이 설치되고 최고급 가구와 인테리어로 시공된다.

스카이라운지는 고급 레스토랑 분위기로 연출될 계획이다. 또 3레인 규모의 실내수영장을 비롯해 골프연습장, 헬스장, GX룸, 냉·온탕을 갖춘 사우나실 등의 다양한 커뮤니티시설을 갖추고 있다.

한강변 성수구역에 매머드급 주거단지

서울시, 전략정비구역 첫 통과
8200채 건립…2013년 말 분양

"사업성 낮아 지연 가능성도"

서울 성수전략정비구역의 재개발 밑그림이 확정됐다. 서울시가 한강변 스카이라인을 다양화하기 위해 초고층 재개발을 허용한 압구정 · 여의도 · 이촌 · 합정 등 5개 전략정비구역 중 정비계획과 구역지정안이 확정된 것은 성수구역이 처음이다. 이곳에는 상한용적률 284~317%가 적용돼 최고 50층짜리 아파트 8247채가 들어선다. 서울시 계획에 대해 조합추진위원회와 지주들은 "용적률 상향과 강변북로 지하화 및 문화공간 조성 비용 경감 등의 주민 요구가 수용되지 않아 사업성이 약해졌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7~50층 아파트 건립
서울시는 성수1가 1동 72의 10 일대 53만399㎡에 아파트 8247채를 건립하는 내용의 `성수전략정비구역 주택재개발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지정안`이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성수구역은 총 4개 지구로 나눠지며 지상 7~50층 높이의 아파트가 들어선다. 지구별 건립 규모는 △1지구 2909채 △2지구 1909채 △3지구 1852채 △4지구 1579채 등이다. 전용면적 85㎡ 이하가 6600채(80%),85㎡ 초과가 1647채(20%)다. 이 가운데 임대주택 1404채를 제외한 6843채가 조합원 및 일반분양분이다.

서울시는 현재 조합원이 4412명인 점을 고려할 때 일반분양 물량은 2400채 안팎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 조합설립인가와 사업시행인가 등을 거쳐 2013년 말이나 2014년 상반기쯤 일반분양이 이뤄질 예정이다.

서울시는 단지 앞 강변북로 460m를 지하화해 한강으로 바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공연장 전시장 등 다양한 문화공간도 조성키로 했다. 서울숲과 뚝섬유원지를 연결하는 대규모 공원을 만들고 지하철 2호선 성수역과 뚝섬역을 잇는 남북 그린웨이도 만들 방침이다.

◆"사업지연 가능성 배제 못해"
성수구역 조합추진위원회들은 부동산 시장 동향과 지방자치단체 및 추진위의 적극적인 홍보가 향후 재개발 사업 순항여부를 결정짓는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성수구역에선 사업성이 낮아 재개발이 지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강변북로를 지하화하고 문화공간을 조성하는 등의 비용으로 약 1600억원을 부담하고 해당 지역 부지 25%를 기부채납했음에도 신축 가능한 연면적 규모가 별로 넓어지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성수4지구 재개발추진위원회 김태건 부위원장은 "추진위 사업 방향에 반대하는 비상대책위원회의 활동이 활발해지면 추가 분담금을 둘러싸고 조합원 사이에 불협화음이 생길 수 있다"며 "서울시가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초고층 개발취지와 분담금에 대해 적극적으로 설명해야 반발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수1지구 추진위 관계자는 "일반분양 물량이 비교적 넉넉한 만큼 주택 시장이 회복돼 높은 값에 팔 수 있게 된다면 분담금 논란은 가라앉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거래 활성화는 힘들 듯

현지 중개업소들은 개발계획 확정에도 불구하고 거래가 당장 활성화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했다. 성수구역 내 20㎡(6평) 전후 소형지분 가격은 2006년 3.3㎡당 4500만원대에서 2007년 8000만원대까지 치솟았다가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약세를 보였다. 작년 하반기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분위기는 반전됐지만 정비계획이 기대수준에 못 미쳐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기 어려워졌다는 평가다.

A공인 관계자는 "20㎡ 정도의 대지지분을 가진 조합원이 전용 84㎡(32평형) 아파트에 들어가기 위해선 3억~4억원을 추가 부담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분담금이 1억원 정도밖에 되지 않을 것이란 일부 중개업소 말을 믿고 지분을 매입한 이들이 항의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B중개업소 관계자는 "서울시가 구역 뒤쪽 준공업지역을 신도시급으로 재정비할 예정이고,삼표레미콘공장 부지에 현대자동차그룹의 110층 빌딩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며 "5년 이상 길게 보면 투자 잠재력은 나쁘지 않다"고 전망했다.

2011년 1월 22일 토요일

♠ 금주의 분양 [1/24-1/28] 강남·서초 보금자리주택 생애최초, 일반1순위 등 공급

1월 마지막 주 신규아파트 분양시장에서는 서울 강남·서초 보금자리주택지구 본 청약이 이어진다. 생애최초 특별공급은 24일(월), 25일(화) 양일간 접수가 진행된다. 3자녀, 노부모부양 특별공급은 24일(월)접수가 진행되며 26일(수)에는 기관추천 특별공급 접수가 있다. 일반공급은 27일(목)부터 시작된다. 일반공급 1순위 중에서 납입 인정금액이 1000만원 이상인자가 접수 대상이다.



앞서 지난 20일 진행된 서울 강남·서초 보금자리주택 신혼부부 특별공급 접수에서는 1순위에 3232명이 신청했고 54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전 주택형 접수가 마감됐다. 강남지구는 24가구 모집에 1684명이 신청해 70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서초지구는 36가구 모집에 1548명이 신청해 4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무주택 수요자들의 관심은 3자녀, 노부모, 생애최초 특별공급과 일반공급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생애최초는 청약자격 요건이 강화되기는 했지만 추첨을 통한 당첨이 가능해 통장 가입기간이 짧은 젊은 근로자 세대주들의 관심이 예상된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2년간 40조 늘었다

서울 아파트 전세 시가총액이 신규물량 부족과 전세 수요 증가로 최근 2년간 40조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부동산1번지에 따르면 서울지역 25구 998개 단지, 111만5654가구를 대상으로 전세 시가총액을 살펴본 결과 최근 2년 새(2009년1월~2011년1월)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40조831억5197만원(18.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실거주 수요의 증감수치를 나타내 주는 전세 시가총액의 큰 증가는 글로벌 금융 위이후 매수심리 및 투자심리의 위축에 따른 전세 쏠림 현상이 뚜렷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송파, 서초, 강동구 등 강남권의 전세 시가총액 증가가 뚜렷했다. 송파구는 28조1218억원으로 지난 2009년 1월 20조9882억원에서 7조1336억원(34%) 늘어 가장 큰 폭의 시가총액 상승률을 보였다.

송파구는 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등의 신규 재건축 단지의 인기와 제2롯데월드 건축승인, 9호선과 법조타운 등의 호재와 도심 내 상업시설, 복합 쇼핑, 문화 시설이 풍부해 강남권 전세 수요가 지속적으로 몰려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강동구는 1월 11조4762억원으로 2009년 1월 7조5786억원에서 3조8976억원(23.8%) 증가했다.

강동구는 롯데캐슬, 프라이어팰리스, 현대아이파크 등 신규 단지의 인기와 고덕시영, 고덕주공2단지 등의 재건축 호재 및 6학군의 교육시설 등에 따른 꾸준한 전세 수요 유입으로 상승폭이 컸다.

서초구는 21조9826억원으로 같은 기간 23.5% 증가해 뒤를 이었다.

반면, 서울의 중심권에서 다소 벗어난 금천구와 은평구 전세가격은 같은 기간 각각 5.6%와 7.4%의 상승률을 나타내 가장 낮은 오름 폭을 보였다.

박지원 부동산114 연구원은 "신규 공급되는 아파트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가운데 3년 넘게 지속된 부동산 경기 악화로 민간 건설사가 분양을 늦춰 매매 수요의 전세 이동이 전셋값 상승을 부추겼다"며 "정부의 공급량을 늘리는 대책도 단기적으로 전세난을 해소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1년 1월 21일 금요일

울주군 등억관광단지 조성 사업 7년만에 중단

울산시 울주군이 상북면 일대에 민간사업으로 추진하던 등억관광단지 조성사업이 7년 만에 사실상 중단됐다.
19일 울주군에 따르면 등억관광단지 조성사업을 위해 지정한 상북면 등억관광단지 조성사업 추진 대상지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기간이 다음 달 9일 만료되지만 연장신청을 하지 않아 이 사업은 더이상 진행하지 않게 됐다.
울주군 관계자는 "사업이 원활히 진행된다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연장을 해야 하지만 사유재산 문제도 있고 해서 울산시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자동해지하는 방향으로 논의됐다"고 말했다.
울주군은 등억관광단지 조성사업을 위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해놨지만 지정기간이 20일가량밖에 남지 않은 마당에 이 사업을 추진할 민간사업자가 나타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울주군은 2004년 기획한 울주관광종합개발계획의 하나로 상북면 등억리와 명촌리 일대 168만㎡에 3천465억원을 투입해 워터파크를 비롯해 놀이공원, 타운하우스와 빌리지콘도, 비즈니스호텔 및 연수원 등을 2015년까지 완공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었다.
울주군은 이후 2007년 3월 이곳을 관광단지로 고시했고 2008년 5월 민간사업자 공모를 통해 우선협상대상 민간사업자를 선정했다.
하지만 재원 등의 문제로 인해 지난해 7월 민간사업자와의 최종 협상이 결렬되면서 이 사업은 더이상 계속 추진되기는 어렵게 됐다

땅값 꿈틀꿈틀…지난달 0.11%↑ 8개월만에 최대

[머니투데이 송지유기자][하남 0.81%로 전국 최고 상승률…경기 남양주, 경남 함안 등도 많이 올라]

지난해 12월 전국의 땅값이 큰 폭으로 올라 8개월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12월 전국의 지가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전달 대비 평균 0.11%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4월(0.14%) 이후 가장 높은 변동률로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이던 지난 2008년 10월에 비해 2.20% 낮은 수준으로 근접했다.

땅값은 지난 2009년 4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오름세를 지속하다 7월 보합 단계를 거쳐 8∼10월 3개월 연속 하락했었다. 하지만 11월부터 다시 오름세로 돌아서 0.03%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전국 251개 시·군·구 가운데 243곳이 올랐다. 수도권 평균 0.12% 올랐다. 서울이 0.15%, 인천과 경기도는 각각 0.07%, 0.10% 변동률을 보였다. 강남구(0.27%), 송파구(0.25%), 서초구(0.24%) 등 서울 강남권은 변동률이 0.2%를 웃돌았다. 경기도에선 과천시 땅값이 0.35%로 가장 많이 올랐다.

지방 땅값은 평균 0.10% 상승했다. 대전이 0.22%로 가장 높은 변동률을 기록했다. 경남(0.16%), 전남(0.14%), 광주(0.12%) 등도 평균 변동률을 웃돌았다.

경기 하남이 미사지구 보상 및 감일·감북 보금자리지구 지정 영향으로 0.81% 올라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경기 남양주(0.50%), 경남 함안(0.47%), 대구 달성(0.41%), 경기 여주(0.40%) 등 땅값도 많이 올랐다.

반면 서울 성동구는 왕십리 뉴타운 사업이 지연 여파로 0.19% 하락했다. 충남 계룡(-0.09%), 충북 보은(-0.05%), 경기 동두천(-0.04%), 경기 연천(-0.02%) 등도 땅값이 떨어졌다.

지난달 토지 거래량은 25만7992필지, 2억2593만4000㎡로 전년 동월 대비 필지는 6.9% 증가했으나 면적은 13.1% 감소했다. 전월 대비 거래량은 필지 기준 23.9%, 면적 기준으로 22.1% 늘었다.

낙동강, "문화관광ㆍ레저 공간"으로 거듭난다

경북도, 345억원 들여 관광자원화

경북도는 올해부터 2013년까지 총 34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낙동강을 문화관광 및 레저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고 20일 밝혔다.
도는 낙동강을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만들기 위해 올해 국비 19억원을 포함한 37억원을 들여 "낙동강 신(新)나루 문화지대 조성사업"과 "레포츠구역 조성사업"을 위한 실시설계 및 기반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낙동강 신나루 문화지대 조성사업은 앞으로 3년간 사업비 280억원을 투자해 잠재적 문화콘텐츠를 지닌 낙동강 나루터를 재현해 역사ㆍ문화ㆍ체험제공의 틀로 활용하는 것이다.
안동 개목나루, 상주 회상나루, 구미 비산나루, 고령 개경포나루를 되살려 나루터와 주막촌, 특화시설을 설치하고 주제별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개목나루는 풍류를 주제로 수상공연장과 안동명주촌을 조성하며 회상나루는 객주를 테마로 전통숙박단지 조성 및 낙동강의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예술문학 체험공간으로 만든다.
비산나루에는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나루문화 체험공간과 함께 수변레포츠 공간이 들어설 계획이며 개경포나루엔 팔만대장경 이운(移運)역사를 주제로 한 주막이 재현된다.
한편 낙동강 레포츠구역 조성사업은 낙동강 중류의 백사장과 산림자원을 활용해 휴양 및 스포츠시설을 만드는 사업으로 총 65억원을 투입한다.
고령군 우곡면 예곡리 일원에 산악 스포츠 코스를 만들고 산악레저지원센터, 자전거계류장 등을 설치하며 대구 달성군에 들어서는 강수욕장 등과 이어지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경북도 김주령 관광진흥과장은 "다양한 생태자원과 이야기를 간직한 낙동강변을 매력적인 녹색 관광자원으로 개발해 문화적 가치를 재창조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부동산114] 실시간뉴스>낙동강, 

아파트 오르니 오피스텔 전세도 상승, 3월과 5월 틈새시장 노려야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아파트 전세가 오르니, 오피스텔 동반 상승
지난해 가을 이사철을 기점으로 아파트시장의 화두로 떠오른 아파트 전세난이 오피스텔 전세 시장까지 영향을 미쳤다. 오피스텔은 상품 특성상 전세 물건보다는 월세 물건이 대부분이긴 하지만 아파트시장에서 물건을 구하지 못한 "전세난민"이 오피스텔로 유입되면서 전세 가격이 강세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 전세 가격이 오르기 시작한 작년 7월부터 꾸준한 상승 기조를 보이기 시작하여 1월 중순 현재까지도 전세수요의 움직임이 꾸준하다.

봄 이사철 입주하는 오피스텔, 마포, 동대문, 성동
봄 이사철 오피스텔 전세 물건을 찾는 수요자라면 ▲동대문 ▲성동 ▲마포 ▲구로에서 찾아 보도록 하자. 올해 상반기 서울권에는 총 1013실 가량이 3월과 5월을 중심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특히 1분기 물량은 540실로 작년 동기간보다 45%가량 늘었지만 최근 전세난을 겪는 시장 분위기 상 오는 봄 이사철에 체감되는 전세매물의 품귀 정도는 훨씬 클 것으로 보인다. 3월에는 동대문, 성동지역에서 458실, 5월에는 마포, 구로 지역에서 423실이 새주인을 맞을 예정이다. 아파트 공급물량과 비교해 물량 자체가 워낙 작지만 전세 부족이 계속되는 만큼 도심 출퇴근 수요가 살펴보면 좋다.



[부동산114 리서치센터(www.r114.co.kr) 노미경]

주택공급 3년째 40만가구 밑돌아…집값 불안요인될까

지난해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이 38만6000여가구로 지난 2008년 이후 3년 연속 40만가구를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9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도입된 이후 3년 연속 주택공급이 감소하면서 내년부터 집값 불안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통상 아파트 공사기간이 2∼3년 정도인 만큼 최근 3년간 공급감소 여파가 당장 내년 입주물량 감소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22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주택건설 인·허가 물량은 수도권 25만218가구, 지방 13만6324가구 등 총 38만6542가구다. 이는 지난해 주택 공급목표(40만1000가구)의 96.4%로 지난 2009년 건설 실적과 비슷한 수준이다.
연간 주택건설 실적은 지난 2006년 46만9503가구에서 2007년 55만5792가구로 급증했다가 2008년 37만1285가구, 2009년 37만1787가구로 급감했다. 전국의 주택건설 물량이 지난해까지 3년 연속 40만가구를 밑돈 셈이다.
연간 주택건설 실적은 인·허가 물량을 기준으로 집계하는 수치로 단독주택 등은 인·허가를 받고 1년, 공동주택은 2~3년간의 공사 기간을 거쳐 준공하는 만큼 향후 주택 시장 수급을 예측하는 선행 지표로 활용된다.


지역별로는 서울 6만9190가구, 인천 3만7477가구, 경기 14만3551가구 등 수도권에 25만여가구가 공급됐다. 서울은 전년인 2009년(3만6090가구)보다 2배 가까이 늘었지만 인천과 경기도는 전년보다 각각 37%, 10% 줄었다.
13만여가구가 공급된 지방에서는 부산, 대전, 전남, 제주 등의 주택공급이 전년보다 2∼3배 증가했다. 대구, 광주, 울산, 충남 등 주택건설 인허가 물량은 전년보다 10∼30% 정도 감소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7만6989가구로 2009년(29만7183가구)보다 6.8% 줄었다. 단독·다세대 등 아파트를 제외한 주택은 2009년 8만4604가구에서 지난해 10만9553가구로 29.5% 늘었다.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주택이 28만3753가구로 2009년(25만2996가구)보다 12.2% 증가한 반면 85㎡ 초과 중대형 주택은 10만2789가구로 2009년(12만8791가구)보다 20.2%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주택 인·허가 실적이 3년 연속 40만가구를 밑돈 만큼 내년부터 집값이 뛸 수 있다고 분석한다. 김규정 부동산114 본부장은 "당장 내년 수도권 입주물량이 크게 줄어든다"며 "공급량 감소는 시장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토부는 주택 보급률이 전국 평균 100%를 넘어선데다 미분양 물량이 쌓여 있는 만큼 급격한 집값 상승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보금자리주택 공급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데다 부동산 단기 차익 실현 기대감도 낮아져 과거처럼 투기수요가 살아날 가능성도 희박하다"고 말했다.

2011년 1월 20일 목요일

강남·서초 보금자리 `신혼부부` 청약 54대 1

60채 공급에 3200명 몰려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서울 강남 · 서초 보금자리주택지구의 신혼부부 특별공급분 60채에 대해 1순위 본청약 신청을 접수한 결과 3232명이 접수해 평균 54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20일 밝혔다.

지구별로는 강남지구가 24채 모집에 1684명이 신청해 평균 70 대 1을 기록했다. 3개 평형 가운데 가장 작은 전용면적 59㎡형이 74 대 1로 최고 경쟁률을 나타냈다. 74㎡형은 56 대 1,84㎡형은 72 대 1의 경쟁률로 마감됐다.

서초지구는 36채 모집에 1548명이 신청해 평균 43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84㎡형이 가장 높은 48 대 1에 마감된 가운데 59㎡형이 44 대 1,74㎡형이 27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모든 타입의 신청이 마감됨에 따라 21일 신혼부부 특별공급분에 대한 2순위 접수는 취소됐다. 21일에는 3자녀 특별공급(85점 이상),노부모 부양 특별공급(무주택 5년 이상 · 청약저축 납입 횟수 60회 이상자)만 신청을 받는다.

일반 공급 물량에 대한 청약은 27일부터 진행된다.

LH 관계자는 "분양가가 주변 시세의 절반 이하 수준이어서 많은 청약자들이 몰렸다"고 설명했다.

발등에 불 떨어진 학군수요, 전세물건 빨리요!

"초등학생 자녀 통학 문제로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는 이사를 해야 하는데.. 하루가 급한데 여태까지 마땅한 전세 물건을 구하지 못하고 있어서 걱정이 이만 저만이 아니에요."
취학자녀의 학군 배정을 앞두고 자녀의 통학을 걱정하는 전세 수요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최근 전세 매물을 구하기가 어려워지자 기존 세입자들은 새 전세 물건을 구하기를 포기하고 다시 전세금을 올리고 재계약 하는 모습이다. 더불어 신규 공급의 부족과 구매심리 감소 등으로 인해 등 좀처럼 시장에 물건이 풀리지 않고 있어 수도권 각지에서 전세 품귀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학기 시작을 앞두고 다급해진 학군수요가 더해져 수도권 곳곳에서 전세난이 더욱 가열되고 있다.
노원구 미아동 SK북한산시티는 12월부터 학군수요가 움직여 전세 거래 및 대기 수요가 꾸준하다. 인근에 삼각산초, 삼각산중 학군 수요에 의한 발걸음이 계속되고 있다. 조건에 맞는 매물이 나오면 빠른 거래를 위해 500만원 내외 웃돈을 주는 모습이 간간이 포착됐다.
도봉구 창동 상계주공18단지는 12월말 서울외고 합격자 발표가 나면서 근거리 통학을 원하는 수요들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근에 있는 월천초, 창일초, 노곡중, 창일중 등에 배정을 받기 원하는 수요자들 역시도 꾸준해 전세 매물 출시를 기다리고 있는 모습이다. 거래는 현재 형성된 시세 수준 안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전세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웃돈을 준다거나 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다.
성남시 야탑동 탑경남, 이매중 배정을 위해 전세 물건을 찾는 수요자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매물량이 부족해 집주인들은 가격을 올려 내놓고 있으며, 다급한 수요자는 거래에 나서고 있다.
전세 품귀 기조를 더욱 부채질하고 있는 학군수요는 학군 배정이 마무리되는 2월 말쯤 지나야 수그러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학군 배정이 마무리되면 시기상 봄 이사철과 맞물리기 때문에 수도권 전역에서 전세부족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사전예약 당첨자 78명, 강남보금자리 본청약 포기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주변시세의 절반정도에 불과한 저렴한 분양가로 일명 "로또"아파트로 불린 강남 보금자리주택에서 계약 포기 물량이 나왔다. 사전예약 당첨자 1336명 중 78명이 계약을 포기했다. 서울 강남세곡지구에서 36명, 서초우면지구에서 42명이다. 면적별로는 강남세곡지구 중에서는 전용59㎡형에서 13명, 전용74㎡형 8명, 전용84㎡형 15명이 본청약을 진행하지 않았다. 서초우면은 △전용59㎡ 9명 △전용74㎡ 12명 △전용84㎡ 6명이 당첨을 포기했다.


개인선호도나 가치 판단 등에 따라 당첨포기
사전예약 당첨 포기자 비중을 살펴보면 강남세곡지구에서는 소형면적이 서초우면지구에서는 중형면적에서 주로 본청약 포기 물량이 나왔다. 강남세곡 전용59㎡형은 주거 선호도가 높은 전용84㎡형 청약을 위해 서초우면지구는 상대적으로 유망한 입지로 평가되는 강남세곡, 세곡2지구, 위례신도시 등에 재도전 하기 위해 당첨을 포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LH공사는 사전예약 당첨자 포기자들 대부분이 납입금액이 2000만원 이상의 청약통장 보유자라고 전했다. 납입금액이 높은 사전예약 당첨 포기자는 사전예약 당시 당첨을 위해 인기규모, 인기단지를 피해 청약했지만 개인 선호도나 지구규모, 위치 등의 가치 판단 등에 따라 강남2차지구, 위례신도시 등의 청약을 위해 본청약을 포기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노부모, 생애최초 특별공급 등의 포기자는 가구 재정에 따라 낮아진 분양가격도 부담이 되어 포기했을 가능성도 없지 않아 보인다.
본청약에는 사전예약 당첨이 포기된 78가구 물량이 더해져 총 736가구가 본청약 물량으로 나온다. 20일에는 보금자리주택 강남 세곡ㆍ서초 우면지구 신혼부부 특별공급 물량에 대한 본청약(21일까지)이 시작되고, 21일에는 보금자리 3자녀 및 노부모 특별공급 본청약이 진행된다. 24일부터는 생애최초 특별공급이 시작되고 일반공급은 27일부터다.



 출처 : [부동산114] 실시간뉴스>사전예약 당첨자 78명, 강남보금자리.. /부동산114/2011.01.20

땅값 두달째 상승..인천도 6개월만에 반등

20일 국토해양부는 12월 전국 땅값이 전월 대비 0.11%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달 0.03% 오르며 4개월 만에 반등한 데 이어 상승폭을 더욱 확대했다.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인 2008년 10월과 차이도 2.20%로 축소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0.12%(서울 0.15%, 인천 0.07%, 경기 0.10%) 올랐고 지방은 이보다 낮은 0.10%의 상승세를 보였다.
광역시·도별로도 전 지역이 상승했다. 11월까지 5개월 연속 하락했던 인천 땅값도 0.07% 상승 반전했다. 대전이 0.22% 오르며 6개월 연속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고, 제주도가 가장 낮은 0.02%의 상승폭을 나타냈다.
주요 행정구역별로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전달에 이어 경기도 하남시였다. 미사지구 보상평가와 감일·감북 등 보금자리 주택지구 땅값 상승으로 0.81% 상승했다. 하남시 다음으로는 경기도 남양주시가 가장 높은 0.50%로 올라 중앙선 복선전철화사업과 진건지구 사업 진행에 따른 기대감을 반영했다.
반대로 낙폭이 가장 컸던 곳은 서울특별시 성동구로 0.19% 내렸다. 왕십리 뉴타운 등 재개발사업 지연, 중단으로 인한 불안감 탓으로 분석됐다.
토지 거래량은 필지 수(25만7992필지) 기준으로 전월 대비 23.9% 늘었고, 면적(2억2593만4000㎡) 기준으로도 22.1% 증가했다. 전년동월 대비로는 필지수 기준 6.9% 늘었지만, 면적 기준으로는 13.1% 감소했다.






▲ 전월 대비 지가변동률(%)

`큰손들 뭉칫돈`은-->부동산으로

빌딩과 상가를 중심으로 개인투자자들의 뭉칫돈이 부동산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지난달 중순 서울 강남구 청담동 바른손빌딩(연면적 1876㎡)이 김모씨에게 113억원에 팔렸다. 바른손그룹이 서초동과 청담동 등 6곳에 흩어졌던 사옥을 경기 고양시로 통합 이전하면서 매각한 것을 개인투자자가 사들인 것이다.
#중소기업 사장 정모씨는 최근 머니마켓펀드(MMF)에 넣어둔 40억원을 빼내 경기 광교신도시의 근린생활용지 600㎡를 매입했다. 주가가 너무 많이 올라 부담스러운 데다 노후를 준비할 때가 됐다는 판단이 들어 땅을 매입해 5층짜리 상가를 지어 임대하기로 했다.
빌딩·상가, 토지, 경매 등 부동산시장으로 개인투자자들의 `뭉칫돈`이 몰리고 있다. 최근 코스피지수가 2100을 돌파하는 등 주식시장 급등세에 부담을 느낀 자산가들이 부동산시장으로 돌아서고 있는 것이다. 특히 약세가 지속되는 아파트보다 목돈이 들지만 가격하락 위험이 낮은 빌딩이나 상가, 토지의 인기가 높다.
한 시중은행 프라이빗뱅커(PB)는 "저금리로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부동산 장기투자나 증여에 관심을 갖는 큰손이 많다"며 "신도시 토지수용 보상금 등으로 갑자기 수십억원의 자산을 손에 쥔 사람들도 주식보다 토지나 빌딩투자에 관심을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서울 강남 일대 중소형빌딩은 매물이 없어서 못팔 정도다. 빌딩거래를 주로하는 A중개법인 이사는 "현금 수십억원을 보유한 개인투자자들은 환금성이 좋고 수익률도 높은 50억원 안팎의 강남 일대 소형빌딩을 선호한다"며 "매수주문은 많지만 마땅한 매물이 없어 거래를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파트를 처분해 소규모 빌딩이나 상가를 매입하는 투자자도 상당수다. B부동산컨설팅업체 사장은 "최근 40대 후반의 투자자가 20억원짜리 강남 아파트를 매도하고 여유 현금자산을 합쳐 송파구의 소형빌딩을 60억원에 매입했다"며 "소형빌딩은 임대수익을 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환금성, 시세차익 면에서 유리해 투자수요가 많다"고 설명했다.
큰손들의 자금유입이 늘면서 토지거래량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전국의 토지거래량은 지난해 9월 14만5157필지에서 10월 18만1236필지, 11월 20만8260필지 등으로 늘었다. 지난달에는 전국에서 토지 25만7992필지가 거래됐다. 택지지구 내 단독택지 판매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관계자는 "겨울 비수기지만 원룸 등을 지어 임대수익을 올리려는 수요자들의 문의가 꾸준히 늘고 있다"며 "새해들어 주말과 휴일을 빼고 단독주택지 165필지 등 233필지가 수의계약으로 팔렸다"고 말했다.
경매시장에선 수십억원대 고가물건이 낙찰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에는 서울 종로구 내수동 대우세종로빌딩 사무동 상가가 40억9000만원에 팔렸다. 2명이 응찰해 감정가(37억6000만원)보다 3억원 이상 비싼 값을 적어낸 투자자가 낙찰받았다.
지난 12일에는 경기 남양주시 진건읍 토지(용도 전, 감정가 21억원)가 27억원, 17일에는 경기 양평군 양동면 토지(용도 임야, 감정가 10억9500만원)가 12억원에 각각 낙찰됐다.
전문가들은 한동안 부동산시장으로 뭉칫돈 유입이 계속될 것으로 본다. 고준석 신한은행 갤러리아팰리스 지점장은 "통상 금리가 올라가면 시중자금이 은행권으로 몰리지만 요즘은 유동성이 워낙 풍부해 상황이 다르다"며 "전통적으로 부동산 투자비중이 높은 큰손들은 여전히 수익형 부동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의 토지나 빌딩에 돈을 묻어두는 게 가장 높은 수익이 보장된다고 판단하는 자산가가 많다"며 "토지의 경우 땅 투자로 수익을 냈던 경험이 있는 사람이나 자녀들, 빌딩·상가는 임대수익과 시세차익을 동시에 노리는 투자자들이 대부분"이라고 덧붙였다.

2011년 1월 19일 수요일

2월 판교 1300가구 모집

다음주부터 부동산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전셋값 담합 등의 불공정 행위에 대한 정부의 단속이 시작되고 올해 1·4분기 입주예정 주택에 대한 상세한 정보도 제공되는 등 1·13 전월세 시장 안정 방안이 줄줄이 시행된다.
국토해양부는 1·13 전월세 시장 안정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시행계획을 마련 중이며 다음주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한다고 19일 밝혔다.
국토부는 우선 다음주부터 지방자치단체 및 경찰 등과 함께 지도단속반을 구성해 부동산중개업소의 불법행위 단속에 나서기로 했다. 단속반은 전셋값 안정을 위해 전셋값 담합 행위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
또 이달부터 오는 3월까지 입주 가능한 주택 정보를 오는 25일 발표한다. 국토부는 한국주택협회 등 관련단체로부터 입주주택 정보를 넘겨 받아 지역과 주택규모별로 자세히 발표해 전세입자들의 전세난을 덜어줄 계획이다. 올해 1·4분기 입주물량에는 서울 강일(1989가구), 마천(1542가구), 세곡(1168가구)지구에 들어서는 공공분양, 장기전세주택(시프트), 공공임대주택 등도 포함된다.
이달 말부터는 도심 소형주택 건설자금 대출도 시작된다. 이 자금은 도시형생활주택과 다세대·다가구주택, 소형 오피스텔 등을 지을 때 연 2%의 금리로 대출해 주는 것이다. 아울러 이때부터 서민 전세자금 대출조건 중 `6개월 이상 무주택` 조항도 폐지돼 대출신청 시점에 무주택자이면 전세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이달 말부터 전세계약 때 지자체에서 받는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토대로 실제 전세계약액도 발표된다.
내달 초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제공하는 판교 순환용 주택(1300가구)과 다가구 매입·전세 임대주택(6000가구)의 입주자 모집공고가 나온다. 이들 주택은 오는 3월부터 입주가 가능할 전망이다.
국토부는 올해 공급하기로 한 매입임대주택 2만가구도 올 상반기에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건설사에 5년 임대주택을 건설할 수 있는 공공택지를 공급하는 방안은 입법예고 등의 절차를 거쳐 오는 4월부터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 도시형생활주택의 가구수 제한을 150가구에서 300가구 미만으로 완화하고 분양가 상한제를 폐지하는 내용의 `주택법 개정안`과 재개발·재건축이 지역·시기적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시·도지사에게 강제 조정권을 부여하는 조항이 담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 등은 내달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여야 협의에 나서기로 했다.

대구, 매매가 대비 전셋값 7년만에 최고…북구 70.72%

주택시장 불확실성 커져 매매보다 전세 선호
중소형 중심 부족 현상 가속화…상승세 지속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세품귀 현상이 계속되면서 올 들어 대구지역의 아파트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에 육박하는 단지가 나타나는 등 전셋값의 상승률이 심상찮다.
이에 따라 지난해 하반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상승 분위기는 200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매매가 대비 전세가 2002년 수준 될 듯
부동산114 대구경북지사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지역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64.65%를 기록했다. 이는 2003년(65.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전세가격 비율이 가장 낮았던 2008년(61.01%)과 비교해서는 3.64%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지역 주택 시장이 좋지 않았던 2009년에도 61.81%에 그쳤다.
대구지역에서 아파트 전세가격이 매매가격 대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던 시기는 지역 주택시장이 활황을 맞기 시작할 때인 2002년으로 72.67%에 달했다. 2003년에도 65.80%를 기록하며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지역 부동산 전문가들은 올 해는 비수기임에도 전세부족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데다, 1월부터 전셋값 상승세가 심상찮아 2003년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을 넘어 2002년도 수준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달성군 66.42%·달서구 65.80%
2008년과 2009년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낮았던 것은 2008년 대구지역 아파트 입주물량이 3만가구를 넘어면서 공급과잉으로 인한 전세가격 급락이 주 원인이었다. 2008년의 전세가격 급락은 역전세 현상을 가져왔고, 이는 2009년 상반기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지난해 아파트 공급물량 감소와 함께 지역 주택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2분기 이후 전세가격의 상승세가 높게 나타났고, 여기에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미분양 아파트 전세만기가 합쳐져 하반기 이후에는 전세가격이 급등하게 됐고 전세난 심화를 불러왔다.
지역별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북구가 70.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달성군 66.42%, 달서구 65.80%, 동구 65.16%, 남구 64.34%, 중구 64.07%, 수성구 60.71%, 서구 60.29%의 순이었다.

◆전셋값도 6.15% 오르며 4년만에 최고 수준
지난 몇 년간 대구지역 전세가격 변동률을 살펴보면, 지난해 6.15%의 변동률을 보이며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2007년 -2.21%, 2008년 -4.51%의 변동률을 기록하며 하락했던 대구지역 전세시장은 2009년 3.17%, 지난해 6.15% 오르며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전세시장의 가격 상승세는 올 해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구지역 주택 시장의 불투명성이 해소되지 않은 상항에서, 최근 미분양 전세전환 단지의 기간 만기가 이어지고 있어 지난해와 동일한 상황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진우 부동산114 대구경북지사장은 "올해 입주물량이 지난해에 비해 5천여가구나 줄어들고, 연초부터 금리까지 인상되면서 시장의 불투명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면서 "한 동안은 수요자들이 매매보다는 전세 선호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여, 전셋값 상승에 따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도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강남 보금자리 736가구 20일 본청약

20일부터 본청약이 실시되는 서울 강남(세곡), 서초(우면)지구내 보금자리주택 신규 공급 물량이 당초 658가구에서 736가구로 늘어난다. 이는 사전예약 당첨자를 대상으로 한 본청약에서 78가구가 신청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 17∼18일 사전예약 당첨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강남·서초지구 보금자리주택 본청약에서 총 1336가구 중 1258가구가 접수했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사전예약분을 제외한 본청약 대상물량은 기존 658가구에서 이번 미신청분 78가구를 더해 736가구(강남 309가구, 서초 427가구)로 늘어났다.
LH는 이들 물량에 대해 20일부터 특별(우선)공급대상자 및 일반 순위대상자를 상대로 본청약에 들어간다.
LH관계자는 “이번 본청약을 포기한 사전예약 당첨자들의 경우 대부분 청약저축금액이 가입기간 및 불입금액이 많거나 강남·서초지구에서도 다른 단지에 신청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5년 의무거주와 10년간 전매제한에 대한 부담도 청약포기의 한 이유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사전예약당첨자 중 본청약을 포기한 경우 2년간 다른 보금자리주택 청약이 제한된다.

전세난 영향으로 연립·다세대 경매 `인기`

- 수도권 낙찰가율 81.86%, 지난해 4월 이후 최고
[이데일리 이태호 기자] 수도권지역 전셋값 급등에 따른 소형 저가아파트의 경매 열기가 연립ㆍ다세대 주택으로 확산되고 있다.
20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이달(1~19일까지) 수도권지역 연립ㆍ다세대 주택 낙찰가율은 81.86%로 전달(80.19%)보다 1.67%포인트 상승했다.
이러한 낙찰가율은 지난해 10월 이후 4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지난해 4월(85.86%) 이후 9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낙찰가율 상승폭도 11월 0.34%포인트, 12월 0.68%포인트에 이어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83.54%로 전달(82.24%)보다 1.30% 포인트 상승하면서 지난해 4월(91.92%)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았고, 경기지역도 2.59% 포인트 상승한 80.43%로 지난해 6월 이후 7개월 만에 80%대로 올라섰다.
이처럼 낙찰가율이 상승세가 이어지는 것은 전셋값 상승에 따른 부담으로 실수요자들이 내집마련을 위해 중소형 저가아파트와 함께 가격이 저렴한 연립ㆍ다세대주택으로도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낙찰가격이 감정가의 100%를 웃도는 `고가낙찰건수`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이달(1~19일까지) 수도권지역 연립ㆍ다세대주택 고가낙찰 건수는 31건으로 전체 연립·다세대 주택 낙찰건수(197건)의 15.73%를 차지했다. 지난 12월 한달간 고가낙찰건수 비율 9.82%(336건 중 33건)과 비교하면 5.91%포인트 높다.
지난 17일 입찰에 부쳐진 서울 중랑구 묵동 대성쉐르빌(다세대) 전용 67.83㎡ 입찰에는 11명이 몰리면서 감정가(2억500만원)보다 2500만원 높은 2억3000만원(112.20%)에 낙찰됐고, 18일 안양에서는 동안구 비산동 태성파크빌라(다세대) 전용 59.51㎡가 1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감정가(1억6000만원) 보다 1100만원 비싼 1억 7100만원(106.88%)에 주인을 찾았다.
이정민 부동산태인 팀장은 "금리인상으로 이자상환의 부담을 느낀 실수요자들이 아파트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연립·다세대 주택까지 관심 범위를 넓히고 있다"며 "역세권이나 편의시설이 잘 갖춰진 주택의 경우 인기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자료: 부동산태인

"강남 30%가 半전세·월세"… 전세 사라지나

강남·용산 등 전세금 급등… 보증금 줄이고 월세로 돌려… "월세가 돈 훨씬 많이 벌어"…
주택시장 월세 위주 되면… 서민·신혼부부 등 타격 커… 세입자 보호대책 시급해
서울 서초구 방배동의 H아파트를 4억3000만원에 전세로 살고 있는 김모(40)씨는 최근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1억5000만원으로 낮추줄테니 월세를 200만원 내라는 전화를 받고 깜짝 놀랐다. 그는 "매달 200만원을 내는 것도 걱정이지만 나중에 돌려받지도 못하는데…"라며 한숨을 토해냈다.
지난 2009년 이후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전세금이 급등하면서 주택 임대 시장에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전세가 급속하게 사라지고 이른바 "반(半)전세"나 월세가 임대 시장에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미 서울 용산과 강남권, 다세대주택 밀집 지역에선 전세보다 월세와 반전세 임대주택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강남권 20~30%가 반전세나 월세
학계와 업계에선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주택 임대 방식인 "전세"가 서서히 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건국대 이현석 교수는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오피스빌딩도 대부분 전세였지만 지금은 월세 시장으로 바뀐 것처럼 4~5년쯤 지나면 주택시장도 월세 위주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실제로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는 월세로 전환되는 과도기적인 현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게 "반(半) 전세". 반전세는 전세보증금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운데 일부만 월세로 내는 방식이다. 주로 최근 전세금이 많이 오른 지역에서 인상된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다.
서울 강남에서는 최근 나오는 임대 주택 매물의 20~30%가 반전세 물건으로 바뀌고 있다. 서울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인근의 B공인중개사무소의 경우 최근 의뢰받은 임대물건 9건 중 전세가 4건, 반전세와 월세가 각각 3건과 2건이었다.
B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여유있는 집주인은 웬만하면 매달 현금을 받을 수 있는 월세 세입자를 구해 달라고 요구한다"고 말했다. 서울 양천구 목동의 H부동산 관계자도 "과거에는 전세와 반전세·월세의 비중이 9대1 정도였지만 최근엔 7대3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전세 보증금 줄고, 월세 비중 높아져
이미 월세가 대세로 굳어진 지역도 적지 않다. "시티파크", "파크타워" 등 시세 10억~20억원짜리 주상복합 아파트가 밀집한 서울 용산이 대표적이다. 비싼 월세(400만~500만원)에도 불구하고 파크타워(888가구) 중 3분의 1은 월세다. 주 고객은 외국계 회사에 근무하는 외국인 임원이다. 다가구주택이 몰려 있는 지역도 월세와 반전세 시장이 발달해 있다. 다가구 주택은 아파트보다 월세가 낮아 목돈(전세금)을 마련하기 부담스러운 세입자가 월세를 선호하는 경향도 있다.
월세 비중은 각종 통계에서도 눈에 띄게 늘어나는 모습이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전체 임대시장에서 보증부월세 비중은 2009년 12월 39.5%에서 지난해 12월 41.2%로 늘어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 관계자는 "보증금 대비 월세의 비중이 2008년 1월 2.42%에서 2010년 12월 2.54%로 늘었다"고 말했다. 전세 보증금은 줄이고, 대신 월세를 내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뜻이다.
◆월세 세입자 보호 대책 마련해야
집주인 입장에서는 지금처럼 저금리 상황이 지속되고 집값이 오르지 않으면 전세를 놓을 이유가 없다. 반면 월세를 놓으면 상대적으로 은행이자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세보다 월세로 전환하는 게 수익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임대주택 시장이 월세 구조로 완전히 재편되면 전세 주택의 주요 소비자인 서민층이나 신혼부부의 주거비용이 상승하는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통상적으로 3억원짜리 아파트 전세를 100% 월세로 돌리면 세입자는 매달 210만원(월세 이자율 7% 기준)를 부담해야 한다. 하지만 세입자가 3억원을 은행에 넣어두면 월 100만원의 이자(예금금리 4% 기준) 수입이 발생한다. 결국 월세로 살면 매달 110만원을 더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월세가 좀 더 낮아지면 월세 중심의 임대주택 시장으로 재편되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한다. 부동산 관계자는 "정부는 임대주택 시장이 월세 중심으로 재편될 것에 대비해 서민들의 주거비용을 줄이는 방법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부동산114] 실시간뉴스>

2011년 1월 18일 화요일

울주군 신청사부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울산시 울주군은 울주군 청량면 율리지역 신청사 이전부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다.
울주군은 청량면 율리 일원 1천142만㎡ 가운데 울산도시공사가 추진 중인 신산업일반단지 이주택지예정지구 19만㎡를 제외한 1천123만㎡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해 최근 울산시에 신청서를 냈고 이날 최종 지정 여부가 결론난다고 19일 밝혔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신청이 접수되면 울산시는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이를 결정하고 향후 5년간 이 지역에서 토지를 거래하는 자는 허가를 받아야 한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은 투기 우려가 예상되는 지역에 지정된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이날 오후 4시 개최되는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울주군이 신청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의 건을 심의해 지정 여부를 곧바로 결정한다.
울주군은 청량면 율리지역 신청사 이전부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결정될 것이 확실하고 결정되면 7일간 공고 이후 5일 뒤에 효력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울주군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해 투기를 막자는 필요성 등이 인정된다"고 말했다.
울주군은 작년 12월29일 울주군 신청사 이전부지를 청량면 율리 산 162-1번지 일원으로 결정했으며, 총 사업비 1천억원을 투입해 3만3천㎡(행정안전부 기준 적용시 1만1천829㎡) 규모로 2012년 공사해 2014년 상반기 신청사로 이전하기로 했다.

 출처 : [부동산114] 실시간뉴스>울주군 신청사부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 /연합뉴스/2011.01.19

작년 용산 전셋값 상승 ‘서울 최고’

지난해 서울지역의 아파트 전셋값 상승이 소형에서 중형에 이어 대형으로까지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용산구는 서울시내 25개 자치구 가운데 전셋값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소형과 중형, 대형 등 전 주택형에서 고르게 많이 올랐다.
18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지역의 3.3㎡당 아파트 전셋값은 평균 738만원으로 전년(686만원) 대비 7.6% 상승했다.
주택형별로 전셋값 상승률은 전용면적 기준 60㎡ 미만 소형이 3.3㎡당 평균 9.7%(610만원→669만원), 60∼85㎡의 중형은 7.6%(659만원→709만원), 85㎡초과 대형은 6.3%(772만원→821만원) 각각 상승했다.
전세난이 시작된 지난해 가을까지만 해도 소형 위주로 전셋값이 상승하고 중형과 대형의 상승폭은 미미했던 것을 감안하면 전셋값 상승이 중형과 대형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용산구는 3.3㎡당 아파트 전셋값이 2009년 789만원에서 지난해에는 895만원으로 13.4% 올라 25개 자치구 중 가장 많이 올랐다. 다음으로 서초구 10.9%(973만원→1079만원), 마포구 10.5%(686만원→758만원) 순이다.
주택형별로 소형은 서초구가 2009년 3.3㎡당 전셋값이 938만원에서 지난해 1118만원으로 19.2%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고 그 뒤로 용산구 18.7%(744만원→883만원), 강남구 14.4%(834만원→954만원) 등의 순이다.
중형은 용산구가 722만원에서 817만원으로 13.2% 상승해 가장 많이 올랐고 다음으로 강남구 11.3%(984만원→1095만원), 서초구 11.1%(973만원→1081만원) 순이다.
대형도 용산구가 3.3㎡당 전셋값이 827만원에서 931만원으로 12.6%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마포구 10.8%(660만원→731만원), 중구 9.9%(720만원→791만원) 등의 순이다.
부동산114 이혜련 연구원은 “용산지역은 지난해 이주 수요가 많은 데 비해 신규 공급 물량은 많지 않아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초강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이에 비해 은평·성북·도봉·강북·노원·관악·금천구의 경우 중형 아파트와 대형 아파트 전셋값 상승폭은 약세를 면치 못했다.
은평구 대형 아파트의 경우 3.3㎡당 전셋값 변동률은 2009년 541만원에서 지난해 538만원으로 오히려 0.6% 떨어졌다. 도봉구는 같은 기간 대형 아파트 전셋값이 520만원에서 521만원으로 별 변동이 없었다.
부동산114 이 연구원은 “노원·도봉·강북·은평구 등의 경우 종전에는 중·소형 아파트 위주로 대형 아파트가 많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뉴타운건설과 대단위 재개발 등으로 대형 아파트 공급이 늘면서 상대적으로 전셋값 상승폭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출처 : [부동산114] 실시간뉴스>작년 용산 전셋값 상승 ‘서울 최고’ /파이낸셜/2011.01.19

용산역세권개발, `차이나머니` 유치 나선다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용산국제업무단지 개발사업 자산관리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이 올해 첫 해외투자자 유치활동에 나선다.
용산역세권개발이 이달중 사업시행자 자격을 얻을 수 있는 4차 토지 계약금 마련을 위한 신규 지급보증 건설투자자 모집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해외IR 성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9일 용산역세권개발에 따르면 마케팅본부장을 비롯한 관련부서 직원들은 싱가포르, 홍콩, 상하이 등에서 해외IR 활동을 하기 위해 이날 출국한다. 용산역세권개발은 이번 해외IR에서 아시아계 연기금, 부동산펀드 및 개발회사, 중국 대형건설사 등을 대상으로 투자유치 활동을 벌인 후 오는 27일께 귀국할 예정이다.
용산역세권개발 관계자는 "이번 해외IR에선 아시아계 10여개 투자회사를 대상으로 투자유치 활동을 벌이게 된다"면서 "용산국제업무단지의 자산 선매입, 차이나펀드 조성, 지급보증을 통한 시공참여 등 다양한 방식의 투자가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용산역세권개발은 지난해 10월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열린 중동 투자설명회에서 1차 해외IR을 진행했다.
용산역세권개발은 "중동 투자설명회에서 세계 최대 투자펀드를 형성하고 있는 오일머니가 용산프로젝트와 같은 기념비적 자산(Trophy Asset)에 큰 관심을 표명했다"면서 "최소 100억달러 규모의 이슬람펀드 조성에 합의했고, 구체적 투자조건에 대한 협의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용산역세권개발이 해외자금 유치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선 다음달 4차 토지계약을 체결해 정식 사업시행자로 지정받아야 한다.
용산역세권개발㈜은 지난달 매입 토지분을 담보로 한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을 통해 국내 금융권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해 밀린 토지대금 6500여억원을 완납했다. 아울러 기존 매입 토지를 활용한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발행으로 1867억원의 자금을 추가로 조달했다.
조달자금 중 취득세를 제외한 1600억원은 4차 토지계약금(3175억원)으로 납입할 계획이어서 4차 토지계약금 완납까지는 1575억원을 남겨 놓은 상태다.
용산역세권개발은 4차 토지계약금 마련을 위해 건설투자자 추가 모집일정을 지난 3일부터 재개했다. 이번 추가 건설투자자 모집에선 직접 발주를 통한 원활한 자금확보를 위해 공사비가 1조3000억원대에 이르는 토목분야와 1조원대의 자재분야에 대해서도 문호를 개방했다.
용산역세권개발 관계자는 "이번 추가 투자자 모집에서 20여곳과 투자유치 협의를 진행중"이라며 "다음달 4차 계약까지 마무리되면 전체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갖게 돼 사업자로 지정받고 보상협의와 개발계획 변경 등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수 있어 해외투자자 유치에도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부동산114] 실시간뉴스>용산역세권개발, `차이나머니` 유치 .. /이데일리/2011.01.19

1.13전세대책 일주일..후속조치는 어떻게

1분기 입주물량 상세 발표..중개업소 단속반 구성
이달 말부터 도심 소형 주택 건설 저리 자금 지원

1.13 전·월세 대책이 나온 지 일주일이 지나면서 국토해양부가 대책에 담긴 내용의 구체적인 후속조치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국토부는 우선 공공 부문에서 소형 분양·임대주택 9만7천가구를 공사기간 단축 등을 통해 조기 공급한다는 방침에 따라 다음 주초 1분기 입주 예정 물량을 단지 및 주택 규모별로 나눠 상세하게 발표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서울 강일 1천989가구(1월), 마천 1천542가구(2월), 세곡 1천168가구(3월) 등이 포함될 예정이며 한국주택협회 등으로부터 민간 아파트 입주 물량도 넘겨받아 함께 제공한다.
또 임대로 전환한 판교 순환용 주택 1천300가구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이미 사들여 수리를 끝낸 다가구 매입·전세 임대주택 6천가구에 대해서는 다음 달 초 입주자 모집공고를 내고 나서 3월부터 입주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올해 공급하기로 한 매입·임대주택 2만가구도 가능한 한 상반기에 조기 매입해 공급할 방침이다.
도시형 생활주택, 다세대·다가구, 소형 오피스텔 등 도심 소형 주택을 지을 때 연말까지 주택기금에서 1조원을 2%의 저리로 특별 지원하는 제도는 국민주택기금 운용 계획을 바꿔 이달 말부터 본격적인 대출이 가능할 것으로 국토부는 예상했다.
서민 전세자금 대출 조건 중 `6개월 이상 무주택" 조항도 기금 운용 계획 변경 때 함께 폐지된다.
국토부는 아울러 다음 주 지자체, 경찰 등과 함께 부동산 중개업소의 불법 행위 등을 일제 점검하기 위한 관계기관 합동 지도단속반을 구성해 가동할 예정이다.
민간이 건설하는 5년 임대주택에 대해서도 공공택지의 공급을 재개하는 방안은 조만간 관련 내용이 담긴 임대주택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한 뒤 관련 절차를 밟아 4월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또 이달부터 전세 계약의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토대로 실제 계약액을 매달 집계해 공개한다.
도시형 생활주택의 가구수 제한을 150가구에서 300가구 미만으로 완화하고 분양가 상한제를 폐지하는 내용의 주택법 개정안과 재개발·재건축이 지역·시기적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시도지사에게 강제 조정권을 부여하는 조항이 담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 등은 가능한 한 2월 국회에서 처리될 수 있게 여야와 협의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와 별도로 주택 건설 인허가 기간을 줄이고 대규모 단지의 분할 분양을 허용하는 등을 골자로 한 주택법 개정안도 별도로 마련해 조만간 입법예고할 예정이다.

 출처 : [부동산114] 실시간뉴스>1.13전세대책 일주일..후속조치는 .. /연합뉴스/2011.01.19

내주부터 중개업소 단속, 입주주택 발표

내주부터 부동산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전셋값 담합 등의 불공정 행위에 대한 정부의 단속이 시작되고 1?4분기 입주예정 주택에 대한 상세한 정보도 제공된다.
 이어 이달말부터는 연 2%대의 저리 소형주택 건설자금 대출이 시작되는 등 정부의 전세대책이 속속 시행된다.
 19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3일 발표한 전세대책(1?13전세대책)을 실행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의 실행방안을 마련해 추진중이다.
 우선 국토부는 지방자치단체 및 경찰 등과 함께 지도 단속반을 구성해 부동산 중개업소의 불법행위 단속에 나서기로 했다. 단속반은 전셋값 안정을 위해 전셋값 담합 행위 등에 대해 중점 조사할 계획이다.
 또 오는 3월까지 입주 가능한 주택 정보는 다음주 월요일 발표된다. 국토부는 한국주택협회 등 관련 협회로부터 입주주택 정보를 넘겨 받아 지역과 주택 규모별로 상세히 발표할 예정이다.
 1·4분기 입주물량에는 서울 강일(1989가구), 마천(1542가구), 세곡(1168가구)지구에 들어서는 공공분양, 20년 장기전세주택(시프트), 30년 임대주택도 포함된다.
 이달 말에는 도심 소형주택 건설자금 대출도 시작된다. 이 자금은 도시형생활주택과 다세대·다가구주택, 소형 오피스텔 등을 지을 때 연 2%의 금리로 대출해 주는 것이다. 아울러 이때부터 서민 전세자금 대출조건 중 ‘6개월 이상 무주택’ 조항도 폐지돼 대출신청 시점에 무주택자이면 전세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이달말부터 전세계약때 지자체에서 받는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토대로 실제 전세계약액도 발표된다.
 내달 초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제공하는 판교 순환용 주택(1300가구)과 다가구 매입·전세 임대주택(6000가구)의 입주자 모집공고가 나온다. 이들 주택은 오는 3월부터 입주가 가능할 전망이다.
 국토부는 올해 공급하기로 한 매입임대주택 2만가구도 올 상반기에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건설사에 5년 임대주택을 건설할 수 있는 공공택지를 공급하는 방안은 입법예고 등의 절차를 거쳐 오는 4월부터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도시형 생활주택의 가구수 제한을 150가구에서 300가구 미만으로 완화하고 분양가 상한제를 폐지하는 내용의 ‘주택법 개정안’과 재개발·재건축이 지역·시기적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시도지사에게 강제 조정권을 부여하는 조항이 담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 등은 내달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여야 협의하기로 했다.

2011년 1월 17일 월요일

"1년새 4천만원 올려달라니…" 오피스텔도 전세난

광진·동작 등 10%이상 급등
매년 재계약…세입자 `부담`

경기도 분당신도시 전용 33㎡ 오피스텔에 세들어 사는 김모씨(34)는 지난 주말 집주인으로부터 전세 보증금을 올려 달라는 전화를 받았다. 1년 전 계약 때 보증금은 8000만원.집주인은 "시세가 1억2000만원"이라며 "3월 재계약 때 4000만원을 준비해 달라"고 말했다.
아파트에서 시작한 전세대란이 단독주택 빌라에 이어 오피스텔로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오피스텔은 주택과 달리 1년 재계약이 관행"이라며 "오피스텔 세입자들은 전셋값 급등에 대처할 새도 없이 외곽으로 밀려날 처지에 놓였다"고 지적했다. 오피스텔은 서울에만 1498단지,17만4073실이 들어서 있다.
◆1년마다 재계약…부담 커져
17일 부동산 중개업계에 따르면 서울 · 분당 지역 오피스텔 전셋값이 급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사철인 3월이 두 달가량 남았지만 오른 가격에 재계약 문의가 늘고 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들의 전언이다.
분당 정자동 대림아크로텔 전용 33㎡ 오피스텔은 1년 전 8000만원이던 보증금이 1억2000만원으로 50% 올라 재계약됐다. 서울 도심권도 재계약 물량은 1년 煥릿?이미 20~50% 오른 가격에 임대인과 임차인이 협의 중인 사례가 많다. 서울 한강로 대우월드마크용산 전용 84㎡ 전셋값은 1년 전 2억~2억2000만원에서 최근 2억8000만~3억원까지 올랐지만 물건이 없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서울지역 오피스텔 전셋값은 1년 전보다 평균 6.2% 올랐다. 광진구가 12.47%로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동작(11.68%) 용산(11.3%) 서대문(10.88%)도 상승률이 높았다. 분당 오피스텔 전셋값도 같은 기간 평균 9%가량 뛰었다.
◆마땅한 대책 없어 세입자 발동동
오피스텔은 상업용이 많아 1년 단위로 임대 계약을 맺는 게 관행이다. 이 때문에 최근 주택 전셋값 폭등세가 그대로 반영된다는 분석이다.
분당지역 오피스텔 세입자 김씨는 "주택은 계약기간 2년 동안 진정된 전셋값이 어느 정도 반영되지만 오피스텔은 1년이어서 전셋값이 오르면 곧바로 반영된다"며 "1년마다 연봉에 해당하는 금액을 보증금으로 마련하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일부 세입자들은 집주인에게 인상폭을 미리 묻기도 한다. 서울 용산 한강로 오피스텔을 전세 준 서모씨(36)는 최근 세입자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세입자는 "전셋값이 폭등한 것을 알고 있다"며 "재계약까지 1개월여 남아 있지만 얼마나 올릴지 미리 알아야 돈을 준비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오피스텔도 주거용으로 쓰이면 2년 단위로 계약하고 인상폭도 5%로 제한토록 하고 있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오피스텔도 주거용은 모두 주택임대차보호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법무부 관계자도 "계약서에 1년마다 재계약을 명시했더捉?임차인이 원하면 2년마다 계약해야 한다"며 "다만 임차인의 주민등록주소지를 살고 있는 오피스텔로 이전하는 등 주거용임을 증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오피스텔은 주인이 1세대 2주택을 우려,주거용 등록을 막는 경우가 많다. 임대 · 임차인이 계약을 놓고 갈등을 벌이면 민사소송으로 해결해야 하는데 주거 기간보다 소송이 길어지기 다반사다.
김규정 부동산114 리서치본부장은 "전셋값 폭등세가 길어지면 계약 기간이 짧고 전 · 월세가 많은 오피스텔에 사는 세입자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며 "지금으로선 오른 가격을 받아들이든지 이사를 가야 하는 수밖에 다른 대책이 없다"고 말했다.

 출처 : [부동산114] 실시간뉴스>

‘금리 인상=집값 하락’ 공식 사라져

금리가 오르면 집값은 어떻게 될까?
한국은행이 지난 13일 기준금리를 전격적으로 0.25%포인트 인상하자 향후 집값에 미칠 영향에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금리가 오르면 시중의 유동성이 줄고 이는 대표적인 실물자산인 부동산가격 인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05년 이후에는 기준금리와 아파트가격의 상관관계가 거의 사라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0년대 초 금리·아파트값 상반
파이낸셜뉴스가 17일 한국은행·국민은행 등의 자료를 토대로 기준금리와 아파트가격 변화 추이를 분석해본 결과, 2000년대 초반까지는 시중금리의 기준이 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와 전국의 아파트값은 반대로 움직였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상관관계가 거의 사라져 눈길을 끈다.
실제 2000년 한은이 한 해 동안 콜금리 목표치(현행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자 당시 전국 아파트값 변동률은 1.4%로 거의 뛰지 않았다. 하지만 2001년 한은이 콜금리를 1.25%포인트 내리자 전국 아파트값은 14.5% 급등했다. 2002년에 금리를 0.25%포인트 올리자 22.8%나 뛰었다. 2001∼2002년 2년 누적치로 보면 콜금리는 1.0%포인트 떨어졌고 이 기간 아파트값은 37.3% 올랐다.이는 금리인하와 더불어 외환위기 이후 건설경기 부양을 위한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효과가 동시에 나타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은은 이어 2003년에 콜금리를 0.5%포인트 내리자 아파트값은 9.6% 상승했고 2004년엔 금리를 0.5%포인트 낮췄으나 아파트값 변동률은 -0.6%를 보였다.
■2005년 이후 상관관계 사라져
그러나 2005년부터는 금리와 아파트값의 상관관계는 사라졌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콜금리는 누적치로 2.0%포인트 상승했으나 아파트값은 21.8% 폭등했다. 이때는 정부가 집값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각종 부동산 관련 규제를 강화하던 시기다. 금리인상을 통해 시중자금을 거둬들이고 규제를 가해도 아파트값은 뛴 셈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부터는 금리인하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한은은 2008년과 2009년에 기준금리를 각각 2.0%포인트, 1.0%포인트 내렸지만 전국의 아파트값은 각각 평균 2.3%, 1.6% 오르는 데 그쳤다. 당시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실질 아파트값은 하락한 셈이다.
이와 반대로 지난해에는 한은이 유동성 회수 및 물가안정 등을 위해 콜금리를 0.5%포인트 올렸지만 아파트값은 2009년(1.6%)보다 다소 높은 2.5%의 상승률을 보였다.
주택산업연구원 권주안 선임연구위원은 “1990년대 말 외환위기와 2000년대 중·후반 부동산 거품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금리와 집값 간 상관관계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하지만 권 선임연구위원은 “주요 변수를 제외하면 여전히 금리와 집값은 반대로 움직이는 역의 관계가 형성된다”며 “시장에 충격이 갈 정도로 금리 인상폭이 크면 집값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출처 : [부동산114] 실시간뉴스>‘금리 인상=집값 하락’ 공식 사라져 /파이낸셜/2011.01.18

리츠·펀드 수도권 부동산 취득 ‘빨간불’

리츠와 펀드 프로젝트파이낸싱사(PFV)들이 서울 및 수도권의 부동산을 취득하는 데 빨간불이 켜졌다. 지방세법이 개정되면서 ‘수도권과밀억제권역’의 등록세 감면 혜택이 사라진 탓이다. 정부는 2월 임시국회 때 종전과 다름없이 감면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하지만 실무 담당자들은 2월까지 손을 놓고 있어야 한다며 불만이 크다.
■리츠 펀드 등 취등록세 감면 혜택 ‘누락’
17일 리츠 및 펀드 등 부동산간접투자시장 관계자에 따르면 지방세 전면개정 이후 과거 조세특례제한법의 119조 제6항에 명시된 ‘리츠 및 펀드, PFV의 수도권과밀억제권 부동산 취득 시 중과규정 배제’ 원칙이 누락되면서 업계에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수도권과밀억제권역’이란 서울 인천 일부지역 수원 성남 등 총 16개시로 인구 및 산업이 과도하게 집중될 우려가 있어 이전 또는 정비가 필요한 지역을 의미한다. 지방세법 상 개발할 때 과밀부담금을 부과하는 등 중과세 규제를 하도록 돼 있다.
개정 전 조특법 119조 제6항에서는 ‘지방세법 제138조 제1항(중과세 규제)의 세율을 적용하지 아니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지만, 개정된 120조 제4항에는 이 내용이 누락됐다.
특히 서울 도심의 도심재개발에 관심을 가진 간접투자업계는 2월까지 토지 매입 등 사업진행을 올 스탑할 위기에 처했다.
부동산자산운용업계의 한 관계자는 “사업 진행에 맞춰 1월 중 토지를 매입해야 하는데 (법안개정으로 인해) 추이를 살펴보고 있다”면서 “감면으로 인해 좌지우지되는 금액이 수십억원에 해당하기 때문에 쉽사리 결정을 내릴 수 없다”고 말했다.
더욱이 지난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계속된 부동산 경기침체로 미뤄왔던 사업들이 재개되려던 참이라 더 아쉬운 상황이다.
이 관계자는 “최근 서울 중구와 종로 등 이 일대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이 조금씩 재개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경기상황으로 늦춰왔던 사업이 정부의 실수로 또 늦춰지는 것이 속상하다”고 덧붙였다.
■행안부 “기존혜택 소급적용 준비 중”
소관부처인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가 해당 법안을 재정비하려고 준비 중이지만 업계 반응은 시큰둥하다. 소급 적용 등의 방법이 있긴 하지만 적게는 수백억원에서 수천억원이 오가는 부동산계약에서 ‘준비 중’이라는 약속만으로는 안심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태영회계법인 최무림 회계사는 “2월 임시국회에서 소급입법이 가능하도록하는 법안이 통과된다면 다행”이라면서도 “2월 임시국회에 통과될 지 여부가 불투명한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실제 정부는 소급입법과 더불어 지방세를 부과하는 지방자치단체에 감면혜택을 주도록 지침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1월 중순이 지나는 지금까지도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최 회계사는 “실무에서는 벌써부터 혼선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정부가 빠른 시일내에 지침을 마련해 지자체에 전달하는 수밖에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행정안전부 지방세정책과 이보환 과장은 “당초에 받고 있던 감면혜택을 똑같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면서 “아직 내부적으로 확정된 것이 없지만 다양한 방안으로 대책을 논의 중인 것은 맞다”고 말했다.

 출처 : [부동산114] 실시간뉴스>리츠·펀드 수도권 부동산 취득 ‘빨간.. /파이낸셜/2011.01.18

외면하던 택지도 팔린다..토지시장도 꿈틀

작년 하반기 이후 LH 토지 판매 증가세

부동산 경기 침체로 수요자들로부터 외면을 받던 공동·단독택지와 상업용지 등 수익성 토지의 거래가 눈에 띄게 늘어 부동산 시장이 서서히 살아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낳고 있다.
18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 따르면 작년 상반기와 비교해 하반기 토지 판매량이 증가한 데 이어 새해에도 수도권과 혁신도시 등 지방을 막론하고 같은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아파트 단지가 들어설 공동주택지는 작년 한 해 39필지가 팔렸다. 상반기 매각 건수는 1월 1건, 2월 1건, 5월 5건, 6월 3건 등 10건에 불과했지만 하반기 7월 1건, 8월 4건, 9월 4건, 10월 5건, 11월 3건, 12월 12건 등 29건으로 늘었다.
김포한강, 화성동탄2, 남양주별내 등 수도권(11필지)과 행정중심복합도시, 울산우정, 광주수완, 부산정관 등 지방(28필지)에서 유망 택지개발 지구의 인기가 높았다고 LH는 설명했다.
용도별로는 임대 아파트 4필지, 분양 아파트 35필지이고, 분양 아파트의 규모별로는 60㎡ 이하 3필지, 60~85㎡ 24필지, 85㎡ 초과 8필지로, 중소형 분양 아파트 용지가 많이 팔렸다.
2억~5억원 선인 점포겸용 또는 주거전용 단독주택용지는 작년 총 5천874필지가 매각된 가운데 9월 942필지, 10월 470필지, 11월 571필지, 12월 1천123필지 등 하반기 4개월간 53%인 3천106필지가 계약됐다.
광주수완, 부산정관, 인천청라, 화성동탄, 양산물금2, 전북혁신도시 등의 택지가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LH는 점포겸용 단독택지는 1층에 상가를 지어 임대소득을 얻을 수 있어 은퇴를 준비하는 베이비붐 세대와 새로운 소득 바탕을 마련하려는 30~40대가 매입자의 주류를 이뤘고, 주거전용 단독택지는 고소득층 실수요자가 많이 사간 것으로 분석했다.
근린생활시설용지, 준주거용지, 상업용지 등 수익성 토지도 연간 979필지가 팔린 가운데 9월 107필지, 10월 91필지, 11월 84필지, 12월 210필지 등 하반기 판매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역별로도 고양삼송, 남양주별내, 의정부민락2, 인천청라, 양산물금, 대구테크노폴리스, 광주첨단, 전북혁신, 당진대덕수청, 대전도안, 성남여수 등 전국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LH 관계자는 "새해 들어서도 겨울철 비수기이지만 주말·휴일을 빼고 약 열흘간 단독주택지 165필지 등 233필지가 전량 수의계약으로 팔렸다"며 "원룸 등을 지어 임대수익을 얻으려는 수요자의 문의가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부동산114] 실시간뉴스>외면하던 택지도 팔린다..토지시장도 .. /연합뉴스/2011.01.18

전셋집도 선착순… 수백만원 주고 "예약" 대출 잔뜩 낀 "악성 물건"도 없어 못구해

"약발" 안먹히는 전세대책… 대한민국 전세가 동났다
계약 6개월 더 남았는데 "전세금 4000만원 올리자" 집주인 무리한 요구도
"아들(7세)이 있는 게 무슨 죄라도 됩니까."

최근 서울 동작구에서 109㎡형 아파트 전세가 나왔다는 부동산 중개업자의 전화를 받고 집을 보러 갔던 이모(43)씨는 집주인으로부터 황당한 말을 들었다. "아이가 있으면 집이 더러워지니 안 되겠는데요." 이씨는 "이사해야 할 날짜가 두 달밖에 안 남았으니 사정을 봐달라"고 읍소했지만 소용없었다.

이 아파트는 전세로 나온 다음 날 8명이 집을 보겠다고 찾았다. 그런데 집주인은 "애완동물 키우는 가정", "식구가 많은 가정", "아이가 있는 가정"은 안 된다는 조건을 내걸고 세입자를 골랐다. 집주인은 "어차피 전셋집 찾는 사람은 많은데 같은 값이면 조건 좋은 세입자한테 주는 게 낫지 않으냐"고 말했다.

정부가 치솟는 전·월세금 안정을 위해 지난 13일 긴급 대책을 내놨지만 서민들의 전셋집 구하기 고통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매물이 부족한 일부 지역에서는 수백만원의 계약금을 맡겨놓고 전셋집을 예약하는가 하면, 집값의 절반에 육박하는 대출을 낀 이른바 "악성 전세"라도 울며 겨자 먹기로 들어가고 있다.

반면 전세 수요자가 늘어나면서 비어 있던 새 아파트의 입주율이 높아지고 미분양 주택도 팔리며 매매시장에 일부 숨통이 트이고 있다.


정부는 이달 13일 올해 공공주택 13만 가구를 조기 입주시키고, 전세자금 대출을 늘리겠다고 발표했지만 당장 전셋집이 늘어나기는 힘든 상황이다. 이 때문에 서민들의 전세난은 더 심각해지고 있다.

가장 곤욕을 치르는 계층은 올봄 결혼을 앞둔 신혼부부. 5월에 결혼할 회사원 박모(32)씨는 "부동산중개업소에서 전화를 받고 1시간 만에 달려갔는데 눈앞에서 다른 사람이 전세 계약서를 쓰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1000만원을 더 주기로 하고 같은 아파트의 저층 전셋집을 구했다. 박씨는 "기다리면 전세금이 더 오를 것 같아 돈을 더 주고 다른 집을 계약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최근엔 전세 매물이 부족하다 보니 부동산중개업소에 계약금 명목으로 200만~300만원을 미리 맡겨 놓고 쓸만한 전셋집이 나오면 중개업자가 대신 "가계약"을 해주는 방식까지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114 김규정 리서치센터본부장은 "중소형 전세 주택의 주수요층이 서민이나 신혼부부여서 이들이 체감하는 전세난의 고통은 더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세금 못 올려주면 월세라도 내든지"

전세난이 심각해지면서 약자인 세입자들은 집주인의 무리한 요구에 시달리고 있다. 서울 송파구 잠실에 사는 황모(35·주부)씨는 "계약기간이 6개월이나 남았는데 집주인이 전세금을 4000만원 올려주든지 월세를 내든지 결정하라고 일방적으로 통보했다"고 말했다.

전세금이 부족했던 그는 월세로 30만원을 더 내기로 했지만 앞으로 아이들 학원비를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닥터아파트의 이영진 이사는 "전세 매물이 워낙 없다 보니 일부 세입자는 담보대출이 꽉 찬 주택까지 전세를 얻고 있다"며 "이 경우 집주인이 대출을 갚지 못해 집이 경매에 넘어가면 자칫 전세금을 날릴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전세금이 오르고 전세 수요가 늘면서 얼어붙었던 매매시장은 일부 해빙(解氷)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세 수요자가 빈 아파트를 찾으면서 비어 있던 아파트 입주율이 오르고 있는 것이다.

작년 7월 준공 후 5가구만 입주했던 인천 청라지구의 한 아파트는 최근 입주율이 70%를 넘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잔금을 못 냈던 계약자들이 전세를 놓아 잔금을 납부하면서 입주율이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미분양이 많은 대구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금이 매매가의 70~80% 수준까지 뛰면서 값싼 미분양 아파트를 매입하는 수요도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세난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최근 전세금 상승세는 당장 입주할 주택이 부족해 벌어지는 현상인 만큼 정부도 딱히 대응방법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건설산업연구원 두성규 실장은 "미국이나 유럽과 달리 우리나라는 세입자가 약자인 경우가 많다"며 "정부가 이들을 보호하는 방안을 좀 더 세밀하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011년 1월 13일 목요일

부동산 바닥논쟁 군불 솔솔 "사야하나"

집값은 계속 내리고 있지만 하락폭이 줄면서 어김없이 바닥논쟁이 서서히 군불을 지피고 있다. 부동산 경기 회복에 대한 확신은 아직 없지만 풍부한 유동성과 대체 투자처 부재로 인한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지속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서울 강남권의 급매물이 거래되고 일부지만 수도권 미분양 단지들이 막판 계약률을 높이면서 시장에서는 서서히 바닥다지기에 들어간 것이 아닐까 하는 "기대반 우려반"의 관심을 쏟아내고 있다.

강남권 거래량 증가, 전셋값 상승세에 시장 분위기 변화
주택시장의 경우 지방 대도시들이 소형 주택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서울 수도권의 낙폭도 많이 둔화됐다. 전셋값이 오르면서 교통환경이 양호한 중소형 아파트가 계약되는 실정이다.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실거래량을 봐도 9월-10월 저가매물 중심의 거래가 늘어났고 경매 낙찰건수도 증가하고 있다. 부산 등 최근 공급을 대폭 줄였던 지방 광역도시에서 미분양이 줄고 실수요 중심으로 소형 주택 가격이 오르자 지방과 같은 양상이 수도권에서도 반복될 것으로 보는 시선도 나타났다.
기존 주택시장의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혜택이 많고 분양가를 낮춘 미분양아파트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지방 분양시장이 몇몇 양호한 성적을 올리고 수도권 미분양도 줄어들면서 신규분양시장에서는 10월 말 시장 테스트에 나섰다. 내달 초까지 실험대에 오른 주요 분양사업장들이 좋은 성적을 거둔다면 분양을 미루던 주요 단지들도 공급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민간 분양 위축에 영향을 줬던 보금자리주택은 11월 사전예약에 들어가는 3차 공급분이 3개 지구 5000여 가구로 대폭 축소됐다.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과 주택담보대출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지수"에 따르면 주택,토지 전망 CSI 또한 모처럼 높아졌다. 거시경제 지표가 살아나고 대출규제 완화 등 정부 정책이 잇따르면서 부동산 매입에 대한 고민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시장의 기대감을 주시해야 하지만 과거 바닥논쟁과는 달라
하지만 과거에 나타났던 바닥논쟁과는 확실히 선을 긋는다. 바닥에 점차 근접하고 있다고 해도 이후 뚜렷한 상승세로 이어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은 누구나 하고 있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바닥다지기를 아직은 "하락세가 멈춘다" 정도의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이 과거 바닥론의 기대감과는 방향을 달리한다.
거시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지만 체감하는 실물경기는 아직 차갑기만 하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 체감 경기가 여전히 내림세인 점을 봐도 알 수 있다. 한국은행의 10월 소비자심리지수(CSI)는 108로 지난 7월 이후 3개월째 하락했다. 향후 경기전망 CSI도 낮아졌고 물가수준 전망 CSI는 여전히 높은 편이다. 경기는 악화되고 물가는 상승해 고민이라는 뜻이다. 실물경기가 살아난다고 해도 실물경기와 주택 부동산경기가 탈동조화 현상을 보이고 있어 동시적인 회복은 아직은 쉽지 않아 보인다.
주택시장의 거래는 주로 급처분 저가 매물 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지방과 같은 회복을 기대하는 경우에도 부산 등 지방이 최근 5년여간 공급을 대폭 줄이고 침체기를 거친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수도권에서 공급 감소에 따른 가격 회복이 나타난다고 해도 당장의 일은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당분간 급매물 위주의 거래와 함께 보합세를 꾸려가겠지만 본격적인 회복세를 점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바닥에 근접한 중장기 유망 물건을 여유자금으로 신중히 투자하는 자세는 여전히 유효하다.

투자 원한다면 연내 검토, 길어진 투자기간은 잊지 말아야
내년 수도권 입주물량이 줄면서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소형 주택 거래로 연결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실제 거래시장의 매수심리가 회복되고 분위기가 반전되면서 바닥다지기가 진행된다고 볼 때 좋은 부동산을 골라서 매입할 타이밍은 올 연말이 될 수 있다. 효과적인 자산배분을 위한 포트폴리오 재구성, 여유자금 활용한 노후대책 마련 등의 관점에서 움직이는 투자자라면 연내 거래를 염두에 두고 시장을 빠르게 둘러볼 때다.
다만 금리 상승을 앞두고 대출 규모는 적정선을 지켜야 하고 환금과 투자수익률의 환수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상기해야 한다. 솔솔 피어나기 시작한 시장의 바닥 기대감이 들어 맞는다고 해도 본격적인 상승기가 뒤따를 가능성은 크지 않기 때문이다

2011년, 중소형 아파트 가격 전망

2010년 하락했던 아파트가격은 8.29 대책 이후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가 멈췄고, 내집마련을 미뤄 온 실 수요자들이 중소형 아파트 구입에 나서면서 10월의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9월 대비 37.5% 늘었다. 2011년에는 수도권 입주물량이 올해의 약 37% 급감하고, 전세가격 상승까지 겹쳐서 중소형 아파트의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하지만 가격 상승의 수준은 과거 아파트 가격이 급등했던 지난 2002년과 2006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전망이다. 2001년 말 기준 서울의 매매 대비 전세 비중은 57.2%로 전세금액에 40% 정도를 추가하면 매매 전환이 가능했고, 이처럼 높은 전세 비중은 2002년에 아파트가격이 연간 30% 급등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했다. 반면 2010년 11월 현재 서울의 전세 비중은 평균 40.6%로 2001년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또 아파트 가격이 연간 32.1%나 상승했던 2006년은 2005년 말 기준으로 서울의 평균 전세 비중이 41%로 지금의 전세비중과 비슷한 수치였지만, 세입자가 매매 전환을 위해 보태야 하는 추가 금액으로 볼 때 과거 2005년과는 차이가 있다. 앞서 설명한 2001년의 경우 전세에서 매매 전환할 때 추가 금액은 3.3㎡당 261만원에 불과했고 2005년 역시 650만원 수준이었지만, 2010년 현재 매매 전환 비용은 3.3㎡당 961만원에 달하고 있다. 즉, 100㎡의 아파트를 구입하기 위해서 2002년에는 전세금액에서 7,800만원, 2005년에는 2억원 정도가 추가로 필요했지만 2010년에는 3억원의 자금이 더 있어야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이 가능해졌다. 그만큼 전세비중이 높아지더라도 세입자가 바로 매매 수요로 전환되기 어렵다는 의미이다.


* 그래프를 클릭하시면 큰 화면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아파트의 수급측면에서도 다행히 가격 상승 우려가 있는 99㎡ 미만의 수도권 중소형 아파트의 입주물량은 2010년보다 4.6% 감소에 그칠 전망이다. 공공에서 공급한 분양, 임대 물량이 민간건설회사의 공급감소분을 보완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소형 아파트 가격 급등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던 아파트 멸실 물량도 강남 저밀도지구의 재건축이 한창이던 2005년에는 연간 4만호 이상에 달했지만 2010년에는 220호로 감소했고, 2011년 역시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중소형 아파트 중에서는 어떤 아파트가 오를까?
매매 대비 전세 비중이 높은 지역의 아파트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상대적으로 매매가격이 비싸고 전세비중이 낮은 강남권이나 인기지역보다는 오히려 저렴한 서울의 외곽이나 수도권의 국민주택 규모 이하의 아파트가 오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업무중심 지역 주변과 역세권 등 생활환경이 우수한 소형 아파트는 봄 이사철을 앞두고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지난 2주간 가격이 오른 아파트의 특성을 살펴보면, 수도권에서 전세 비중이 60%를 넘은 지역에서 아파트가격이 조금씩 움직이는 경향을 보였다. 또 재건축이 어려워지면서 노후 단지보다는 상대적으로 새 아파트들의 움직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11년 내집마련 희망자들은 자기자금에서 너무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전세 비중이 높고 생활여건이 양호한 중소형 아파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


* 그래프를 클릭하시면 큰 화면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3개월 연속 아파트 실거래량 증가, 회복 기대감 고조

전국 아파트 실거래량이 3개월 연속 증가세다. 국토해양부가 이달 15일 발표한 11월 전국 아파트 실거래 건수는 총 5만 3558건으로 전 월 대비 29.5% 늘었다. 올 들어 월간 거래량 중 최고치이며 작년 10월 거래량 5만 5천여 건 이후 가장 많다.

계절상 비수기인 점을 감안할 때 금융규제 강화 이전 수준까지 거래량이 회복된 점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DTI규제 강화로 인해 거래가 급감했던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볼 때 전국 주요 권역은 전반적으로 거래량이 증가했고 2010년 월 평균치와 비교해도 강남3구 거래량은 이미 2배를 넘어섰다.



특히 전국 월간 실거래량이 5만 건을 넘은 것은 국토해양부가 실거래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06년 12월과 지난 2009년 가을 시즌뿐이었다. 11월 거래량 수치는 발표 사상 4번째로 높다. 거래량 증가 추세로 미뤄보자면 거의 바닥을 확인했다고 볼 수 있다.
재건축, 랜드마크 단지를 중심으로 서울 강남권 거래가 크게 늘었고 분당 등 1기신도시의 거래량 또한 증가했다. 서울 강남3구는 전 월 대비 2배 가까이 거래량이 늘며 올 2월 이후 처음 1천 건을 넘어섰다. 2009년 9월 이후 최고 거래량이다.
집값 급락에 대한 우려를 덜어내고 부동산 경기 회복 기대감이 형성되면서 11월 서울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거래량이 증가한 것이 고스란히 신고,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전셋값 상승에 따른 부담으로 소형 주택이 거래되기 시작해 강남 재건축 급매물과 버블세븐 등 랜드마크 저가 매물 거래로 확대된 상태이고 저가 매물이 소진된 후 12월 현재는 시장에 출시되는 매물의 호가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

다만 과거 4년간 평균치에 비해서는 강북, 신도시 등 수도권의 거래량은 아직 덜 회복됐다. 장기간 침체됐던 광역시, 지방 시장이 과거 4년간 거래량에 비해서도 크게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계절상 비수기를 감안할 때 강남3구 거래량도 과거 4년간 평균치보다는 많은 거래량을 기록했다. 최근 나타나고 있는 가격 선도지역, 주거 선호지역의 거래 증가가 서울 전반, 수도권 외곽까지 확산되는 데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12월 중순 현재는 거래시장이 약간의 관망기조를 띠면서 11월보다 거래량이 조금 줄어들 수도 있어 보인다. 하지만 이달 현재 오른 가격에도 거래가 이뤄지고 있어 실거래가격 자체는 11월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11월에는 대기수요자들이 저가 위주로만 거래해 실거래가격 자체가 크게 높아지진 않았다.
3개월 연속 아파트 실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주택 부동산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전세 수요가 꾸준하고 연말 연초 실수요 거래가 이어지면서 주택 아파트 시장은 거래 정상화, 가격 회복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개발시장의 변화

민간의 부동산개발시장은 2개의 커다란 변화시기를 거치면서 발전하였다. 먼저, 1997년 IMF 외환위기는 고통스러운 시기였지만 한편으로는 새로운 이정표 역할을 하였다. 선진국의 각종 부동산개발 기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부동산 개발에 따른 이익보다는 다양한 리스크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면서 새로운 부동산개발 금융상품과 기법들이 등장하게 되면서, 소위 PF(project financing)라 불리우는 사업방식이 매우 단기간에 시장에 도입, 안착되었다. 이에 따라 이전까지는 주로 건설회사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개발방식이 시행사인 디벨로퍼가 적극적으로 가세하게 되었고 금융기관의 역할이 증대되면서 건설회사, 금융기관, 디벨로퍼가 부동산 개발을 이끌어가는 3주체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는 부동산개발시장에 또 다른 변화를 가져오기에 충분했다. 2007년 이래의 부동산시장 침체와 더불어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부동산시장의 중장기적 전망이 기복이 있기는 하지만 대세하락이라는 데에 대부분의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이 동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선분양을 중심으로 하는 개발방식은 건물완성후 임대운영하는 방식으로의 전환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IMF 이후 오피스빌딩을 중심으로 한 임대운영형 사업방식에 대한 관심도와 투자가 증가하였으나, 이제 판매시설 등 기타 상업용 건물로의 확대가 예상된다. 대부분 멈춰버린 택지개발지구내 대규모 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에서 나타난 비주거부분의 분양 실패 경험과 임대운영방식인 영등포 타임스퀘어의 성공 사례가 변화 가능성을 보여준 계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업무용이나 판매용 시설과 같은 상업용 부동산의 임대운영상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자산관리업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다.

한편 수요가 충분한 특정 지역과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소형 오피스텔 등과 같이 사업성이 있는 용도에 있어서는 분양형의 개발사업방식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분양형과 임대운영형 방식의 민간부동산개발이 혼합되는 형태가 지속될 것이다. 그러나 미국발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리스크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져 분양형 개발사업에서 특히, 부동산개발금융은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일부 금융기관에서는 디벨로퍼가 자기자본 20% 이상의 선투자를 할 것을 사업조건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건설회사의 지급보증방식이 어려워지면서 건설회사가 직접 개발사업을 시행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디벨로퍼도 자기자본 규모를 증가시키거나 직접 투자자를 모집하는 자기관리 리츠방식에 대한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금융기관은 직접투자에 대한 노하우와 확신이 부족하여 머뭇거리고 있고, 건설회사는 디벨로퍼 또는 전문시공사라는 선택의 기로에서 부동산시장 상황에 휩쓸리고 있고, 디벨로퍼는 자기자금 조달능력에 비해 과대한 사업에만 관심을 갖고 있다.

특히, 초기 자금조달능력이 부족한 디벨로퍼는 변화하지 않으면 점차 시장에서 도태될 것이다. 자기자금 조달능력에 적합한 규모의 소형 개발사업부터 시작하여 경험과 브랜드를 확보하여 중장기적으로 성장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하방경직성이 강하고 사업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토지비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지주공동사업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된다. 일본 동경의 롯본기힐즈와 아크힐즈를 개발한 디벨로퍼인 모리빌딩의 경우 10년 이상 지주를 설득하였고, 55년 이상 꾸준히 성공적인 사업을 창조한 사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한국의 부동산 개발사업 주체들은 위기시마다 한 단계 발전하는 능력을 보여 왔다. 한국에서의 부동산개발 경험은 한국적 상황에서의 최선의 선택에서 나온 결과이며, 선진국에 뒤지지 않는 독자적인 노하우를 축적하였다. 향후 해외 부동산개발사업 분야로의 지속적인 진출과 개발 주체들의 발전적인 변화를 기대해본다.

아파트 시장의 탈동조화(decoupling)

최근 부산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경남지역뿐만 아니라 수도권 이외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을 두고 ‘부산 발 훈풍’이라 일컫고 있다. ‘부산 발’이라는 기점(origin)을 두고 나온 말이니 대전 등을 거쳐 서울,수도권을 종점(destination)하는 가격 상승의 방향성을 염두에 둔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즉, 부산의 아파트 매매가격과 청약열기 등의 상승세가 다른 지역으로 옮아 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와중에 얼마 전 행정복합도시인 세종시 첫마을 아파트 청약 결과 일반분양 1~3순위와 무순위 청약에서 2.4대 1의 경쟁률로 전 주택형이 청약 마감됐다. ‘부산 발 훈풍’의 물결효과(riffle effect) 때문일까?

마린시티 등 해운대로 대변되는 국지적인 시장의 가격 상승은 예외적이었지만 하향 안정세라는 추세는 현재까지도 부산지역의 가격 특성을 설명하기에 유효하다. 그렇다면 그럼에도 왜, 부산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과 청약 열기가 이슈화되는 것일까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부산 발 훈풍’으로 일컬어지는 부산지역의 가격상승의 배경은 이렇다. 아파트 가격이 꼭지를 향하던 2005년을 전후한 시점에 서울 및 수도권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에 대한 조치로 ‘8.31대책’ 등이 발표되면서 건설사들은 주 사업장을 서울과 수도권을 피해 부산 등 지방으로 이전한다. 사업장만이 바뀐 것이 아니다. 이때 야기된 고분양가와 중대형 평형의 공급 결과는 소비감소로 이어지면서 미분양 물량의 적체라는 문제를 잉태한다.

분양가는 높은 상황에서 중대형 평형이 공급되니 수요자들의 수요는 급감했고 2007, 8년의 금융위기와 최근의 유럽 발 재정위기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추세는 현재까지 연장되었다. 이것은 결국 시장의 수급불균형이 내재적으로 커지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던 차에 여전히 가격 경쟁력이 높은 해운대라는 지역에 평균 수준의 분양가격으로 중소형 평형이 공급된 것이다. 몇 년 동안 시장 수요에 부합하지 않는 상품들에 비해 경쟁력이 있는 상품이 출시되자 당연히 사람들은 주목했고 그 결과는 높은 청약경쟁률로 나타났다. 즉, 바닥이라는 인식론이 확대된 상황에서 전세가 상승은 매매가격의 상승 모멘텀을 자극시켰고 입지와 가격 경쟁력이 있는 상품이 출시되자 청약경쟁률에 불이 붙은 격이다.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상품이 만든 ‘히트 엔드 런(Hit & Run)’ 상황인 셈이다.

부동산 정보업체인 부동산 114의 자료에 따르면 2010년 11월26일 기준 전국 평균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0.08% 수준이나 부산은 0.16%로 서울, 대구의 0.05%의 두 배 이상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매매가격 역시 전주 대비 전국 평균 0.03% 상승했으나 부산은 0.14%로 6대 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이러한 가격 변동에 주목하는 것은 최근의 금리 인상과 연평도사태 및 국제 경제 여건이 좋지 않음에도 최근의 전세가 상승과 중소형 중심의 매매가격 상승이 자칫 소비자들의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를 부추길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용어 가운데 ‘탈동조화(decoupling)’라는 용어가 있다. 사전적으로는 ‘동조화(coupling)의 반대 개념으로 한 나라 또는 일정 국가의 경제가 인접한 다른 국가나 보편적인 세계경제의 흐름과는 달리 독자적인 경제흐름을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부동산 시장과 관련해서는 ‘서울,수도권시장과 지방시장이 같지 않은 상태에서 독자적인 시장을 형성’하는 정도로 이해하면 될 듯 싶다. 물론 완전히 독자적인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소비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베이비부머들이 두텁게 존재하는 한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고받는 것이 불가피하지만 예전과는 확연히 다르다는 얘기다. 결국 부동산 시장의 차별화와 양극화가 진행된 결과라는 점에서 앞으로의 시장 상황 전개와 관련해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할 수 있다. 서울과 부산을 사이에 두고 나타나고 있는 가격 상승률에 기초한 최근의 ‘북저남고’ 현상은 탈동조화의 초기 모습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전의 상황과는 다르다. 서울ㆍ수도권과 지방이 다르고 지방 내에서도 각기 다른 시장이 존재한다. 각기 다른 것이 독자적인 특성을 보이는 탈동조화는 지방에서부터 시작되고 있는지 모른다.

경매물건은 시세보다 싸다?

2010년 부동산시장은 침체기속에 관망세가 지배적인 가운데, 좀 더 싼 매물을 찾아, 임대수익이 가능한 매물을 찾아서 발품 팔기를 주저하지 않는 투자자들은 경매시장을 기웃거리고 있다.
장기간 거래부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값은 연초대비 11월말 현재까지 2.7% 하락한데 그치고, 땅값도 3/4분까지 1%만 떨어져 기대보다 가격 조정폭이 크지 않았다. 때문에 투자자들은 향후 가격상승을 낙관하기 어려운 현실 속에 기존 유통시장에서 매물을 찾기보다 좀 더 싸게 구입할 수 있는 경매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11월말 현재 수도권 주거시설에 대한 법원경매 평균 응찰자수가 9개월 만에 최고치를 달리고, 낙찰건수와 낙찰률도 함께 오르는 추세를 보이는 등 부동산 경매시장은 그 어느 때 보다 분주한 한해를 보냈다.

경매란 사전적 의미로는 “물건을 팔고자 하는 사람(매도인)이 물건을 사고자 하는 다수의 사람(매수희망인)에게 청약을 실시해서 그 중 가장 높은 가격으로 청약을 한 사람에게 물건을 매도하는 형태의 거래”를 말한다.
부동산 경매는 매도인이 물건을 매매할 목적으로 직접하기도 하지만,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지급받지 못한 경우 채권을 회수할 목적으로 실시하기도 한다. 즉 채무자가 채무(빚)를 갚을 수 없는 경우에 채권자가 이를 원인으로 법원에 경매를 신청하면 법원이 입찰을 통해 채무자의 물건을 매각한 후 그 매각대금으로 채권자의 채권을 충당하는 법원경매가 그 대표적인 경우다.

2011년 주택시장 전망

2010년은 거시경제의 본격적인 회복에도 불구하고, 부동산경기가 지속적인 침체상태를 보였다. 4월 이후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거래량도 실거래신고 기준으로 3만호 수준을 8월까지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따라 8월 29일 수도권DTI규제 완화, 세제감면 연장, 보금자리 사전예약 조정 등을 내용으로 하는 부동산규제완화책이 실시되었다. 이 조치가 취해진 이후 가격 하락세가 완화되기 시작했고, 거래량은 9월 이후 회복세에 들어갔다. 이러한 긍정적 신호들은 2011년 시장 전망을 밝게 하는 측면이 있다.

물론 시장에서 부동산경기 회복에 유리한 환경만 조성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우선 저금리 기조에 변화가 생겼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는 상황에서 7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인상을 단행한 이후 금리인상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부동산대출을 가진 소유자들이나 향후 구입하려는 수요자의 경우 상당한 부담을 갖게 되었다.

두 번째는 거시경기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미 환율전쟁 등 세계경제 환경변화가 압박을 주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위험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거시경제 하락세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부동산경기에도 불리한 거시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결국 이와 같은 금리나 경기 등의 거시경제 측면에서의 불리한 환경은 주택경기회복의 속도를 떨어뜨릴 것으로 예상된다.

세 번째는 정책변수를 들 수 있다. 8.29조치가 시장에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준 것은 사실이지만, DTI규제완화는 6개월의 한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고, 보금자리주택에 대한 수요자들의 기대가 여전히 높기 때문에 사전예약의 조정만으로 보금자리주택 수요 조정을 이룰 수는 없다. 이에 따라 내년도 정부정책의 기조도 경기변화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여러 가지 거시 환경이나 정책변수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의 수급면에서는 가격 및 거래량 회복의 기조가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우선 기존 아파트가격에 영향을 주는 입주물량이 수도권에서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07년 분양가 상한제를 피해서 대량 분양된 아파트의 입주가 2010년 마무리되고, 수도권에서 입주량이 크게 감소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입주량 감소는 최근 전세수요의 급증 등과 맞물려 아파트가격 강세의 배경이 될 것이다.

둘째 수요자들의 매수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아직까지 분양에 대한 태도나 수요가 현실화되는 데는 어려움이 있지만, 미분양이 급속히 감소하고, 급매물이 소진되고 있기 때문에 수요자들의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진 상황이다. 최근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주택소비자들이 자신에 필요한 주택서비스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경기회복과 더불어 소득이 증가하고, 시장분위기가 개선되면서 그 동안 미루어온 구매를 다시 시작하게 될 것이다.

이미 지방광역시는 경기회복세가 본격화되거나 호황기에 해당되는 거래량과 가격상승을 보이고 있다. 시차를 가지고 있지만 수도권에서도 2011년부터는 회복세가 나타날 것이다. 다만 수도권 내에서도 모든 지역이 동일하게 회복세를 보일 것 같지는 않다. 특히 대규모 미분양이 있는 지역들은 침체 상황이 상대적으로 길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수도권 미분양 감소세, 시장 효과는

수도권 전세불안, 집값 회복세를 제어하는 미분양의 역할 충분할까?
장기, 악성, 중대형 위주로 남은 수도권 미분양이 집값, 전셋값 제어하는 효과는 한정적일 것
지방 미분양이 감소세를 보이는 데 반해 지난 해 하반기 수도권 미분양 물량이 꾸준히 늘어나 3만가구에 육박하면서 수도권 집값 회복을 지연시키고 급등 가능성을 제어할 대표적인 변수로 미분양 아파트가 꼽혀왔다. 2010년 10월 기준으로 2만 9334가구가 미분양으로 남아있고 당장 입주할 수 있는 준공후 미분양 물량 또한 계속 증가해 해당 지역의 수급불균형을 해소하고 집값 상승을 막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남아있는 수도권 미분양의 경우 상대적으로 분양가격이 비싼 중대형 물량이 많아 내집마련 실수요자가 매입하기 어렵다. 실제로 최근 수도권에서 소진된 미분양 물량은 대부분 소형이다. 비선호 지역이거나 비선호 요인을 지닌 회피 물건일 경우 비거주 투자자가 계약하기도 쉽지 않다. 미분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이 전세수요나 소형 매매수요가 선호하는 도심, 역세권 등지가 아니기 때문에 실수요자는 물론 임대수요자에게 기대기도 사실상 어려워 보인다. 잔여물량으로 남은 지 오래된 악성 준공후 미분양도 적지 않아 부족한 전세물건을 대체하거나 전셋값 상승, 그에 따른 매매수요 전환과 집값 회복세 등에 영향을 미치기 힘들다는 판단이다.

물론 일부 지역의 가격 회복세가 나타나며 강보합세를 띨 것으로 예상되는 올 상반기 주택시장에서는 심리적 안정 기재로 작용할 수 있겠지만 바닥론이 힘을 얻고 유동성과 저금리를 바탕으로 한 저점매수세가 거래를 유도하기 시작하면 심리적 변수로도 작용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구매력과 구매심리가 회복되면서 수도권 전반적으로 서서히 확산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게다가 수도권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감소세를 보이면서 연내 장기적인 집값 보합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더군다나 크지 않아 보인다. 국토해양부 발표에 따르면 2010년 11월 기준으로 전국 미분양 물량은 9만4539가구로 전월대비 4.7% 감소했고 수도권 미분양은 2010년 8월 이후 처음 줄어들었다. 지방 미분양이 꾸준히 줄고 감소폭도 커진데다가 한 동안 증가추세를 보이던 수도권 미분양 물량이 꺾이면서 수도권 바닥론과 집값 회복 기대감이 힘을 얻을 전망이다.

경기 용인, 이천, 평택, 시흥, 파주, 김포 등지에서 소형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줄었고 인천 중구, 서울 서초구와 동작구 미분양도 전월대비 감소했다. 수도권에서 신규 미분양이 발생하기는 했지만 준공후 미분양도 123가구 줄었다.

2011년 초반 실수요 매입 가능성이 있는 소형 미분양이 이르게 감소세를 나타내고 민간 분양시장의 위축 상태가 지속되면서 미분양 증가 요인이 제어된다면 중대형 악성 위주로 남아있는 미분양 물량이 기존 주택시장의 전셋값 불안을 해소하거나 집값 회복세, 일부 지역의 상승세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는 사실상 쉽지 않을 전망이다.

오피스텔 시장 전망과 투자 전략

지난 2010년 수도권 아파트값은 재건축을 비롯해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지만 오피스텔은 서울 지역이 3.4% 오르는 등 상대적인 강세를 보였다. 전,월세 가격도 소형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상승했다. 한정된 공급량에 비해 관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아파트 전세물건이 부족해 대체 상품으로 떠올랐고 당장 내 집을 마련하기 힘든 젊은 세대, 신혼부부와 싱글족 같은 소규모 세대가 도심 오피스텔을 선호하면서 수요가 몰렸다. 집값 하락과 부동산 시장 침체로 투자성이 저하되면서 임대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 수요도 증가했다. 은퇴를 시작한 베이비부머 등 매달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원하는 투자수요자들의 관심이 꾸준히 이어질 전망이다.

반면 연간 서울 수도권에 공급되는 오피스텔 분양, 입주 공급 물량은 각각 5천여실 안팎으로 많지 않아 수요가 몰릴 경우 수급불균형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임대료는 물론 매매가격 상승이 이어질 수 있다. 수익성이 우수한 도심과 역세권, 업무지구 주변과 대학가, 주거 선호지역 등지의 오피스텔이 인기를 끌 전망이고 2011년 분양에 나서는 신축 오피스텔에도 수요 관심이 예상된다. 특히 올해 선보일 오피스텔 사업장은 마포, 성동구, 정자동 등 대부분 세입자 구하기가 수월한 역세권과 업무시설 밀집지역 주변에 위치해 있어 높은 관심이 예상된다. 문정동과 천호 일대, 인천 및 경기 주요 도시에서도 비교적 규모가 큰 단지형 오피스텔 물량이 선 보일 예정이어서 눈길을 끌 전망이다.

오피스텔 투자할 때 주의할 점은,
기존 오피스텔은 상대적으로 매입 투자금 부담이 적고 기존의 운영 이력을 보면 구체적인 수익률을 예측할 수 있다. 대신 노후 건물일수록 관리비나 수리비 부담이 커지고 세입자들의 선호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신축 오피스텔은 최신 디자인과 외관, 시설 등으로 인해 세입자를 유치하기 수월하지만 초기 매입자금이나 분양가 부담이 크다는 약점이 있다. 또한 정확한 공실과 수익률 산정이 쉽지 않다. 따라서 투자자 개인의 자금력과 투자 기간, 목표 수익률에 맞춰 기존 오피스텔과 신규 분양상품 중에서 매입 대상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그 밖에 오피스텔에 투자할 때는 지역별, 상품별로 투자성이 크게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배후수요가 탄탄하고 공실률이 낮은 곳에서 임대료가 잘 나오는 상품을 선별 투자해야 한다. 또한 현장 실사와 구체적인 투자수익률 분석을 거쳐 개별 상품의 수익률을 꼼꼼하게 따져보고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한다. 최종 수익률을 따질 때는 초기 매입자금뿐만 아니라 관리비용, 세금부담, 감가상각 등 추가적으로 소요될 제비용을 모두 포함해야 최대한 정확한 수익률 예측이 가능하다.

최근 수요 선호도가 높은 소형 오피스텔이 투자 대상으로 적당하고 복합건물이나 단지형 오피스텔처럼 규모나 시설, 편의시설 등이 잘 갖춰진 오피스텔이 좋다. 수요 선호도가 높아 공실이 적고 월세도 비교적 높게 책정되기 때문에 임대사업 목적의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최근에는 스튜디오형과 분리형, 원룸과 투룸 등 다양한 유닛도 개발돼 수요 니즈에 따라 선택의 폭도 다양해졌다. 바닥난방면적 확대 등 완화된 건축규제에 맞춰 지어진 곳이면 더욱 유리할 수 있다.

관리비가 과도하게 비싸지 않으면서 월임대료와 분리돼 있는 상품이 임차인 구하기에 수월하고 세입자의 심리적 부담을 줄여준다. 건물 관리나 임차인 관리 등을 담당하는 전문 중개업소나 업체가 따로 있으면 임대 경험이 없는 투자자들도 세를 놓고 운영하기 수월하다.

오피스텔의 경우 아파트 등에 비해 매매가격 자체 상승폭이 크지 않고 대체로 임대수익률만으로 투자성을 판단해야 하므로 실질 임대수익률이 높아야 하며 경매나 급매물 매입 등을 통해 투자금을 최소화하고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DTI 규제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적절한 소액 대출을 이용해 레버리지 효과를 살려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아파트에 비해서 초기 매입자금 부담이 적고 임대수익률이 높기는 하지만 처분할 때 매매차익을 기대하기 어렵고 아파트와 비교하면 전용률이 낮은 경우가 많으므로 실평수 기준의 3.3㎡당 분양가를 따져보는 절차도 필요하다.

한편 아파트처럼 오피스텔도 대형 시공사의 브랜드 오피스텔이 최근 좋은 분양성적을 내고 있어 앞으로는 오피스텔도 인기 브랜드를 단 상품들이 지역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최근 분양하는 오피스텔 물량 중에는 시리즈 분양을 통해 오피스텔 자체 브랜드를 강화하려는 시도를 하는 곳도 찾아볼 수 있다. 신축 오피스텔 투자를 위해 청약 대상을 고를 때 참고할 대목이다.

2011년 1월 12일 수요일

주택 임대계약시 확인사항

<임대차계약 시 확인사항>
임대권한이 있는지(소유권자 및 대리인)와 계약을 하되 등기부상 본인명의인지 여부를 주민등록증으로 확인하고 대리인이 나올 경우 위임장과 인감증명서를 확인한다.

① 임차주택의 사용부분을 계약서상에 정확히 표시
② 계약금,잔금의 금액,지급일정과 임대차기간 명시
③ 임대료 지급방법 표시
④ 전임차인의 퇴거일과 입주일 확인
⑤ 전임차인의 관리비 등 제세공과금 처리
⑥ 시설상태 및 수리여부 확인
⑦ 구조변경 및 원상회복문제 확인
⑧ 위약 및 계약해제 사항 확인
⑨ 특약사항란은 구체적으로 기입
⑩ 중개수수료 지불문제 확인
⑪ 중개대상확인·설명서 작성 및 교부

<권리관계 확인>

전세계약 전에 등기부등본을 발급해 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등기소에서 등기부등본을 발급받아 가등기, 압류, 가압류, 가처분 등 권리관계를 철저히 확인해 이 같은 내용이 있으면 계약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런 주택의 경우 전세보증금을 한 푼도 돌려받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근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주택가격에서 선순위 근저당금액을 뺀금액이 전세금보다 많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주택 값이 폭락할 경우나, 경매낙찰가액이 주택값보다 턱없이 적을 경우엔 선순위 근저당금액을 제하고 전세보증금을 보전받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에 100% 안심할 수 없다. 또 집주인이 자주 담보물권을 설정하는 경우도 훗날 세입자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웬만해서는 선순위 근저당이 설정된 집에 전세를 들지 않는 것이 좋다.
가등기, 가처분이 설정된 집에 전세를 들면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아도 아무 소용이 없다.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는 매매계약에서 설명한 대로, 소유권이 불분명한 상태이며 가등기권자가 언제든지 본등기에 의해 새로운 소유주가 될 수 있고, 기존 소유주와 맺은 전세계약자는 전세금을 보호받을 수 없다. 가처분은 한 주택을 놓고 두 사람이 소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을 때 원소유권자 임의로 주택을 처분하지 못하도록 법원에 임시 보전한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에서 가처분등기를 한 사람이 승소할 경우 세입자는 불법 점유자가 돼 강제 퇴거 당하는 것은 물론 전세금도 돌려 받지 못할 수도 있어 주의를 요한다.

<확정일자 받기>

확정일자란 공증인이나 법원 공무원, 동사무소 공무원이 사문서에 기입하는 일자인(印)을 말한다. 그 기입된 일자 현재 해당 문서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전세계약서에 받는 확정일자는 청구자의 성명과 문서명을 확정일자부에 기입하고 확정일자부의 번호를 계약서에 쓴 후, 확정일자인을 찍고 그 안에 청구한 날의 일자를 기재하는 순서이다. 임대인의 동의없이 임차인 혼자 청구할 수 있으며 전세계약서를 공증받았을 경우는 이미 확정일자를 갖춘 것으로 간주돼 별도로 청구할 필요가 없다. 또 반드시 임차인이 해야 하는 것이 아니며 계약서를 소지한 사람이면 누구나 대신 받을 수 있다. 확정일자인을 동사무소, 등기소, 공증사무실에서 받을 수 있고 수수료는 1,000원이다.

소유권 이전등기

<소유권 이전등기란?>
부동산매매계약에 의하여 부동산을 매입하여 매수인 앞으로 부동산 소유권을 명의 이전하기 위해 하는 등기이다. 이 신청에서 매수인은 등기권리자, 매도인은 등기의무자라고 한다.
부동산을 매수하여 등기이전을 할 수 있는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해야한다. (지연시는 과태료 부과)

<등기이전에 필요한 서류>

1. 매도인 준비서류

① 등기권리증(등기필증)
② 매도용 인감증명서 1통(매수인의 인적사항기재) : 발행일로부터 6개월이내
③ 양도신고확인서 1통(1가구1주택에서 3년이상 보유후 매도한 경우는 해당 안됨)
: 매도인이 잔금일전에 세무서에 거래 내용을 신고하면 발급 가능
④ 주민등록등본 1통(등기부상 주소가 기재되도록 가능하면 주민등록초본 발급을 권장)
⑤ 검인받을 매매계약서 4부(원본2부 사본2부도 가능)

2. 매수인 준비서류

① 토지대장 1통
② 검인계약서 2통
③ 건축물관리대장 1통
④ 본인의 주민등록등본 1통
⑤ 제1종 국민주택채권매입필증 1통
⑥ 등록세 영수필 확인서o통지서 각 1통
법무사를 통해 등기를 하는 경우: 매수인이 주민등록등본 2통을 추가적으로 준비하고 등록세, 인지세, 국민주택채권매입금액 및 수수료를 법무사에게 주면 된다.

<소유권 이전등기 절차>

등기부등본 보는 법

<부동산 등기란?>토지나 주택과 같은 부동산은 겉으로 봐서 누가 점유하고 있는지 또는 소유하고 있는지 알기가 쉽지 않다. 때문에 등기부라는 공적공부에 해당 부동산의 표시와 그 부동산에 관한 권리관계를 기재해 일반인에게 공시한다. 이것이 바로 부동산 등기제도이다. 따라서 누구든지 등기부를 열람하거나 등본을 발급받을 수 있으며, 해당 부동산의 지번·지목·구조·면적 등 표시사항과 소유권·지상권·저당권·전세권·가압류 등 권리관계를 알 수 있다. 부동산에 관한 소유권 등의 권리관계가 발생하거나 권리가 이전 또는 변경됐을 경우 등기가 되어야만 그 효력이 생긴다. 이 같은 등기의 의미를 간단한 예로써 알아보자. 예컨대, "갑"이 자신의 집을 "을"에게 매도하고 잔금까지 모두 받은 후 그 집을 다시 "병"에게 매도하고"을"보다 먼저 "병"에게 소유권이전등기를 해 주었다면, 그 집에 대한 소유권은 "병"이 취득하게 된다.

<등기부등본의 구성>
등기부등본은 표제부와 갑구 및 을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을구에 기재된 사항이 전혀 없거나 기재된 사항이 말소돼 현재 효력이 있는 부분이 전혀 없을 때에는 을구를 제외한 표제부 및 갑구만으로 구성된 등기부등본을 발급한다.

<등기부등본상 권리순위>
등기부에는 등기한 순서대로 순위번호를 기재하여 같은 구에서는 그 순위번호에 따라 등기의 순위가 가려진다. 또 부기등기의 순위는 주등기의 순위에 의한다. 그러나 가등기의 경우는 순위보전의 효력이 있어 본등기가 이뤄지면 그 본등기의 순위는 가등기 순위를 따른다. 갑구와 을구 사이의 등기순위는 접수일자와 접수번호에 의해 우선순위를 가린다.

<등기부등본의 확인사항>
등기부등본의 구성


등기부등본상 권리관계 분석

가). 소유권의 진정성 판단, 기타 권리취득 가능성의 확인사항

나) 권리분석 대상물의 기본적 확인사항


※ 넓은 의미의 권리분석
넓은 의미의 권리분석은 부동산의 물리적인 내용과 잠재적 활용가치를 가리킨다. 이 같은 부동산의 물리적 내용과 가치는 토지대장, 임야대장, 건축물관리대장, 토지이용계획인원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건축물관리대장과 토지대장은 해당 건물과 토지의 물리적 내용을 알아볼 수 있는 장부이며, 토지이용계획확인원은 해당 토지의 행정적 규제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상가 임대계약시 확인사항

<점포 임차할 때 유의사항>
① 계약은 당사자 사이의 합의만 있으면 되는 것이고 서면으로 하지 않은 구두계약도 계약으로서 효력이 있다. 그런데 계약서는 증거법상 처분문서라고하여 계약서작성 사실만 인정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내용과 다은 사실인정을 할 수 없으므로 계약서와 다른 구두약속이 있다면 반드시 계약서에 특약으로 기재해 두어야 한다. 구두약속은 증인이 없으면 입증이 어렵고 증인이 있다 하더라도 법원은 당사자가 신청한 증인의 증언을 쉽게 믿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② 임대인은 등기부등본에 기재된 점포소유자이어야 하고 만약 소유자 본인이 아닌 경우에는 소유자의 인감증명서와 인감이 날인된 위임장을 첨부하여야 한다.
③ 임차할 부분을 계약서에 특정해야 하는데 부동산 등기부등본상의 점포호수를 정확히 표시하여야 하고 면적도 건축물관리대장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④ 임대인은 임대차기간 동안 임차인이 목적물을 사용수익에 필요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할 수선의무가 있고, 수선의무가 지연되어 목적물 일부를 사용할 수 없다면 그 부분에 대한 임대료 지급을 거절할 수 있으나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임대차계약 전에 점포의 구조와 시설상태 및 수리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상당한 수리를 요하는 경우 그에 관하여 합의하고 특약으로 명시하는 것이 좋다. 임대차계약을 한 경우 임대차 개시 당시의 목적물 현황을 사진으로 찍어 두는 것이 분쟁에 대비하여 필요하다.
⑤ 대형빌딩과 같이 다수의 임차인을 상대로 동일한 양식의 계약서를 사용한 경우는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는 약관에 해당된다. 약관은 사업자가 다수의 고객과 계약을 일정한 양식에 의하여 체결하는 계약의 내용이 되는 것을 말한다. 아울러 약관에서 고객에게 불리한 조항은 무효가 됨을 알아두어야 한다.

<계약시 권리금처리>

권리금이란 점포의 운영자가 가게를 운영하면서 확보한 고정고객 점포의 지명도등에 대한 대가로 새로 점포를 얻으려는 세입자에게 요구하는 웃돈을 말한다. 일종의 프리미엄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보통 인테리어비용이 포함된다. 권리금은 대체로 건물주인이 묵시적으로 인정해 주지만 법적인 보장을 받지 못하는 맹점이 있기도 하다. 건물주가 모르는 권리금은 종종 건물주인이 직접 건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 분쟁의 소지가 된다. 따라서 권리금이 붙은 점포를 얻을 때에는 이 같은 사항을 건물주인에게 알리고 "권리금 인정여부"에 대한 서명동의를 받거나 계약서에 권리금관계를 써 넣는 것이 좋다. 법적인 임대기간이 끝난 후 재계약을 하지 않고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 계약을 해지하기 위해서는 임대인은 6개월 전에 임차인은 1개월 전에 서면(내용증명)을 통해 당사자에게 해약을 통고해야 한다.

① 건물주가 바뀌었을 경우 보증금과 권리금은 어떻게 되는가?
임대기간 중 임대한 건물이 다른 사람에게 팔렸을 경우 임차권 등기를 갖추지 않는 한 새 건물주의 재량권이 우선이다. 임대료와 보증금을 올려줄 것을 요구하거나 여의치 않으면 비워달라 요구해도 따를 수밖에 없다. 이때 다시 그러한 일이 반복될 것에 대비하여 임차권 등기절차에 협력할 것을 임대인에게 요구할 수 있다. 계약서를 포기할 경우 거래 관행상 이사비용과 중개수수료 정도는 종전의 건물주에게 받을 수 있다.

② 권리금 회수는 어떻게 하는가?
점포가 수차례에 걸쳐 임차인이 바뀌면서 고객의 권리금이 형성되었을 때 건물주의 묵시적인 동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임대인이 보증금과 월세를 받으면 임차인이 누구든 상관없다고 여기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상황에 접할 때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권리금에 대한 확인을 받아야 한다.

③ 계약종료 후 권리금 반환은?
임대차 기간은 상가임대차보호법으로 인해 2년기간을 단위로 갱신된다. 임대인이 점포계약을 갱신해 주지 않으면 임차인은 점포를 비워줘야 한다. 이때 보증금은 당연히 돌려받게 되지만 권리금은 점포사용 이외에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특별이익에 대한 대가로 주고받는 것이기 때문에 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2011년 1월 11일 화요일

내년 서울 재개발, 재건축 공급물량 증가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내년 서울 재개발,재건축 공급물량이 올해보다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제도 변경과 분양 시장 악화로 분양 일정이 연기된 사업장이 최근 집값 안정세로 내년엔 분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114(www.r114.co.kr)에 따르면 2011년 서울에서 재개발(도시환경정비사업 포함), 재건축 아파트 공급 가능한 물량은 총 31개, 2만5428가구로 집계됐다. 올해와 비교하면 사업장(30곳)수는 비슷하지만 공급된 물량(1만1411가구)은 두배 증가했다. 10개 재개발 사업장 중 성동, 서대문, 마포, 동대문 등 8곳이 천가구가 넘는 대단지 아파트가 공급된다.

구별 공급물량은 △동대문구(3곳, 총 5,158가구) △서대문구(3곳, 총 4,738가구) △성동구(4곳, 총 4,310가구) △마포구(2곳, 총 4,213가구) 순이다.

서울 재개발,재건축 공급 물량은 2008년 금융위기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분양 일정이 지연되며 감소 추세였다. 최근 부동산 경기가 서서히 회복 조짐을 보임에 따라 2008년까지 관리처분인가를 통과한 사업장들이 분양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내년에 재개발,재건축 아파트 공급이 순조롭게 분양이 진행되면 서울 도심권 아파트 공급 물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2~3년 입주시점에는 전세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강남3구 전세 거래 많은 상위 5곳이 전체 40% 차지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전세는 가락>도곡>잠실>잠원>서초 순으로 거래 많아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중 올해 전세거래는 가락>도곡>잠실>잠원>서초 순으로 많이 이뤄졌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2010년 11월 중순까지 공개된 실거래가격 정보에 따르면 강남3구에서는 총 7537건의 전세거래가 이뤄졌다. 전세거래 상위 5개동은 총 3061건으로 강남3구 전체 거래 건수의 40% 이상을 자치했다.

강남3구 중 11월까지 전세거래가 가장 많았던 송파 가락동은 가락시영재건축아파트와 같이 오래되거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세아파트 위주로 거래사례가 많았다. 뒤를 이은 강남 도곡동은 전세가격이 비싼지역이지만 신규 아파트가 많아 선호도가 높다. 송파 잠실동은 잠실주공5단지와 같이 오래된 아파트뿐만 아니라 새아파트도 많아 전세거래가 많이 이뤄졌다.

월세 또한 마찬가지였다. 올해 강남3구에서 거래된 월세는 총 647건으로 가락, 개포, 삼성, 서초, 논현에서만 강남3구 전체 월세 거래 중 60% 가까이 성사돼 특정 지역에 집중됐다.

전세는 주거지 주변, 월세는 직장, 업무시설 주변 거래 많아
전세는 주거지 주변으로 새 아파트가 많은 곳이나 학군 수요가 많은 곳, 가격이 저렴한 재건축 단지나 오래된 아파트 중심으로 거래가 많이 이뤄졌다. 월세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삼성, 서초, 논현동과 같이 직장, 업무시설이 가까운 곳, 소형이 많은 개포동 주변으로 거래가 많았다

2011년 1월 분양계획 5년래 최저치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최근 5년래 최저치 예상
새아파트 분양시장이 침체된 가운데 건설사들은 연초 분양을 서두르기보단 분양시장의 분위기나 타업체의 분양성적을 보고 분양시기를 조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2011년 1월 신규아파트 분양물량이 크게 줄었다.

부동산114(www.r114.co.kr)에 따르면 1월 분양을 계획하고 있는 사업장은 전국 5곳, 3423가구다. 이는 최근 5년간 1월 평균 분양물량(1만4543가구)의 25% 수준에 불과한 수치다. 특히 양도소득세 한시 감면 종료를 앞두고 분양이 상대적으로 많았던 2010년 1월 분양실적 물량에는 20%도 미치지 못하는 공급계획이다.

2011년 1월 분양예정 물량의 급격한 감소는 침체된 민간분양시장에 건설사들이 쉽사리 분양을 계획을 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곤 있다지만 분양시장의 회복 정도를 보고 분양에 나서겠다는 생각에서다. 또한 연초 강남권 보금자리리 본청약이나 설연휴 등 미분양을 우려할만한 변수도 있어 건설사들은 연초 분양에 신중한 모습이다.

최근들어 바닥전망과 매수심리가 살아나면서 하락세를 보이던 기존 주택가격이 상승전환되고 있다. 기존 주택시장이 회복되면서 점차 분양시장이 온기를 되찾을 것으로 보여 2011년 분양시장은 올해보다는 활기를 띌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여전히 중소형면적 아파트나 유망입지에 대한 쏠림 현상이 지속되고 있어 분양시장 회복세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 2010년 12월21일 조사기준/ 분양계획물량은 변경될 수 있음

2010년 오피스텔 매매가격, 도심주변 지역이 상승 주도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올 한해 은평, 서대문, 동대문 등 도심권 주변의 오피스텔 가격 상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www.r114.co.kr)에 따르면 올 한해 가격 변동이 컸던 서울 주요 지역은 ▲은평(10.18%) ▲서대문(7.41%) ▲종로(7.17%) ▲동대문(6.51%) ▲송파(5.73%) ▲강북(5.38%) ▲강동(4.98%)순이었다.

은평, 서대문, 동대문 등 지역은 도심권 주변에 위치해 있어 수요가 꾸준한데다 초기 매입자금도 상대적으로 낮아 매수세가 꾸준했다. 대중교통 이용으로 약 20분 내외면 도심권 접근이 가능한 은평은 도심 업무지구 수요가 늘면서 이들을 겨냥한 투자목적 거래가 이뤄졌다. 서대문과 동대문 등도 지역내 대학생 수요를 비롯 상업시설 종사자 등의 임대수요가 풍부해 은평과 더불어 신흥 투자지역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이들 지역은 높아진 가격만큼이나 연초 대비 수익률 낙폭 역시 서울 자치구 중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서대문(-0.55%p) ▽은평(-0.52%p) ▽강북(-0.32%p) ▽강동(-0.31%p) ▽종로(-0.30p) ▽동대문(-0.26%p) ▽광진(-0.25%p) ▽중(-0.23%p) ▽구로/양천(-0.19%p) 순이었다.

도심 주변 오피스텔 수익률 낮아졌어도 투자비용 대비 수익률 여전히 높아
서울 외곽 지역 중 올 한해 가격 변동 및 수익률 낙폭이 컸던 대표 지역들은 ▲은평 7.13% ▲동대문 6.96% ▲강북 6.86% ▲강동 6.26% ▲서대문 6.25% 순으로 서울 개별 자치구 중 중상위권 임대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여전히 임대수익률은 강남, 마포 등의 메인 지역들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임대수요가 탄탄한 대학가 지역이나, 기타 업무 및 상업시설이 밀집돼 있는 지역들을 중심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풍속도, 혁신학교로 학군수요 몰린다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혁신학교 주변 전세부족 새로운 풍속도
흔히 학군 수요는 입시 성적이 좋은 학교를 따라 움직인다고 생각하지만 공교육 개혁 방안으로 혁신학교가 새롭게 떠오르면서 주변으로 전세 부족 현상이 함께 나타나고 있다. 경쟁 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해 새로운 교육 대안을 찾는 학부모들이 늘면서 `혁신학교 지정=전세 부족`이라는 새로운 풍속이 곳곳에서 포착돼고 있다.

부동산114(www.r114.co.kr)에 따르면 혁신학교 주변 전세가격 변동률은 상위 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혁신학교가 위치한 고양시 일산동(일산중학교)은 고양시에 비해 높은 전세 상승률을 보였다. 구름산초등학교가 위치한 광명소하동을 비롯해 보평초등학교가 있는 판교 삼평동 역시 주변 지역에 비해 높은 전세값 상승률을 나타냈다.

내년부터 서울도 혁신학교 운영, 주변지역 학군수요 몰릴 경우 전세부족 심화될 수도
경기지역은 9월 기준 총 43개 학교가 혁신학교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서울시도 올해 총 23개 학교(초 10개교, 중10개교, 고3개교)가 혁신학교로 지정되어 내년부터 혁신학교로 운영된다. 더나아가 2014년까지 순차적으로 300개 학교를 혁신학교로 지정 운영할 계획이다.

※ 혁신학교란 경기도교육청이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는 공교육정상화 모델이 되는 학교이다. 2009년 9월 13개교로 출발한 혁신학교는 공교육개혁에 대한 국민적 기대 속에서 2010학년도에 총 43개교로 확대된데 이어, 2010년 11월 34개교(예비지정 포함)가 추가되어 총 77개교로 늘어났다.

올해 주택 경매시장 부산, 울산 인기 높았다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올해 주택경매시장 부산, 울산 강세
올해 주택경매시장은 수도권보다 광역시 특히, 부산과 울산 등이 강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부터 12월까지 대법원 경매정보 매각가율 통계를 살펴본결과,올 한해 주택공급부족으로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를 보인 부산지역 매각가율은 92.1%로 70%대에서 80% 초반대로 나타난 수도권역보다 10%이상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권은 입주물량 증가로 매매가격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경매시장 매각가율도 전국 매각가율 79%보다 유일하게 낮았다.

비아파트 주택상품도 매각가율 부산이 특히 높아
단독다가구나 연립,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매각가율도 수도권보다 대부분 부산및 울산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단독주택도 서울(90.5%) 경기(73.3%) 인천(85.2%) 보다 울산(96.6%)의 매각가율이 높았고 전국 최저 수준인 광주(64.8%)와 비교하면 3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립이나 다세대,빌라 등 일반주택도 수도권역에 비해 부산(92.8%)이 특히 높았다. 올해 부산·울산 등 경남권 아파트시장에 물건 부족사태가 지속되면서 매매가격 오름세가 지속되자 저렴한 매물을 원하는 수요가 경매시장으로 이동하면서 아파트를 포함 일반 주택 매각가율도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울산지역 다가구, 오피스텔은 감정가보다 더 비싼 금액에 낙찰돼
울산지역에서는 감정가보다 매각가가 더 높은 낙찰사례가 나타나 경매시장이 열기를 보였다. 주로 임대사업 목적으로 새롭게 조명받은 단독다가구주택이나 오피스텔 등의 매각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소형아파트 물량 부족으로 투자수요가 경매시장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내년 입주물량이 급감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반적인 주택시장 분위기가 심상찮다. 내년 주택가격이 회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는 경매시장에도 수요가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매각가율: (매각가/감정가)*100 으로 수치가 100을 넘으면 감정가보다 매각가가 더 높은 수치임
※ 평균 : 각 주택상품(아파트, 단독, 다가구, 연립주택,다세대,빌라,오피스텔) 매각가율 평균치
※ 자료 : 대법원 경매정보 용도별 매각통계 2010년 1월~12월 기준

강남권 보금자리 최대 13% 낮아진 분양가, 치열한 본청약 경쟁 예상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서울강남, 서초 보금자리주택 본청약 접수가 내년 1월 17일부터 시작된다. 분양가는 사전예약 당시 추정했던 가격보다 6~13%가량 낮아져 보금자리주택의 최대 장점인 가격경쟁력이 더욱 높아졌다.

본청약 물량은 전체 1994가구 중 사전예약으로 확정된 1336가구를 제외한 강남 273가구, 서초 385가구다. 이후 본청약과정에서 사전예약 당첨자 중 미신청이 추가로 발생할 시 물량은 조정 될 수 있다. 분양가는 기준층 기준으로 강남은 3.3㎡당 924만∼995만원, 서초는 964만∼1056만원이다. 이는 사전예약 때 추정분양가 1030만∼1150만원과 비교하면 6~13%가량 낮은 수준이다. 확정된 본청약 분양가격은 사전예약 공급당시보다도 낮아 강남 보금자리주택의 가격경쟁력은 더욱 높아졌다. 높아진 가격경쟁률만큼 당첨경쟁은 더욱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쟁률 및 당첨커트라인은 사전예약 결과보다 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요자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전용84㎡형은 위례신도시 수준까지 높아질 수 있다. 위례신도시 전용84㎡형은 지난 5월 사전예약 당시 당첨커트라인이 1990만원(서울기준)이었다.



청약신청은 1월 17일과 18일 양일간 사전예약 당첨자를 대상으로 본청약 신청이 진행되고 이어 20~26일까지 신혼부부, 노부모부양, 3자녀, 생애최초 등 특별공급 신청이 진행된다. 일반공급은 27일부터 31까지 진행된다.

강남 본청약가격이 사전예약 추정가보다 저렴해지면서 강남 2차보금자리주택지구, 위례신도시 등 인기 보금자리주택지구의 본청약을 기다리는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11년에도 민간보다도 가격이 저렴하고 입지가 우수한 주요 공공분양이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보금자리 대기수요 증가는 기존주택시장의 전세물건 수급난, 전셋값 상승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리모델링 추진 3곳 중 1곳은 중단,보류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사업 추진 40% 이상 보류 또는 중단
아파트 리모델링 수직증축 및 일반분양 허용이 불허되면서 리모델링 초기 사업장의 사업 추진이 어려워 질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114 (www.r114.co.kr)에 따르면 서울, 경기에서 리모델링을 추진했거나 추진 중인 전체 물량 중에서 사업이 실질적으로 추진되는 곳은 52% 정도이다. 48% 이상은 사업 추진이 보류되거나, 사업 자체가 무산된 상황이다. 서울은 총 5만6천75가구 중에서 2만8천944가구로 58%, 경기도는 총 4만7천839가구 중에서 2만7천806가구로 52%가 리모델링 사업 추진에 나서고 있다.

서울은 강남, 서초, 노원, 성동에 집중되어 있다. 경기도는 사업 추진 중인 31개 단지에서 1기 신도시가 26곳을 차지한다. 추진되고 있는 사업장도 수직증축 법안 통과를 예상해 사업계획을 세우며 사업 추진 속도를 늦추고 있었다.

리모델링 추진 단지 옥석 가려 선택
리모델링 사업 방식이 기존대로 유지됨에 따라 조합원 추가 부담금이 줄어들지 않아 사업 추진 속도는 여전히 지지부진한 형태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리모델링 가능 연한이 도래한 준공 연도 15년 지난 아파트 거래 시장 투자 수요 관심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므로 리모델링 사업 추진이 원활해 사업 기간이 길어지지 않을 단지를 선택해야 한다. 입지여건이 양호하고, 소형면적으로 구성되어 조합원 사업 추진 의지가 높고 대단지보다는 500가구 미만의 소규모 단지가 좋다. 리모델링을 통해 성공한 서초구 방배동 궁전아파트(총 216가구)도 단지 규모가 적어 조합원 동의서 받기가 수월해 사업 추진이 5년 채 걸리지 않았다.

현재 리모델링 추진 방식은 전용면적 30% 이내에서 수평으로 늘려 짓거나 지상 1층에 필로티 구조로 할 경우 1개 층을 높여 지을 수 있다.

2010년 아파트 거래 1위는 강남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올해 아파트 매매거래는 강남구에서 가장 많았다.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2010년 아파트 매매거래 중 강남에서 총 3698건이 이뤄져 서울시 내에서 가장 거래 건수가 많았다.

2010년 상반기 아파트시장이 약세를 보였지만 하반기 접어들면서 바닥인식론 확산, 가격 회복기대감이 형성돼 싼 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특히 2009년부터 가격이 서서히 떨어졌던 강남은 지역적인 메리트로 향후 가격 회복가능성이 더 클것으로 기대되면서 재건축아파트나 신규아파트, 교육여건 등이 좋은 단지 위주로 거래 사례가 늘었다.

이어 노원>서초>송파>강동>양천>성북 순으로 올해 아파트 거래가 많았다. 2006년~2008년까지는 아파트 재고 자체가 많은 노원이 매년 아파트 거래량 1위를 고수했다. 2009년에는 강동이 아파트 매매거래가 가장 많았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서울 강북권이 뒤늦게 가격이 하향조정되면서 노원은 2009년과 2010년 거래량 1위 자리를 내줬다.

서울 아파트거래는 국토부 실거래가통계 발표 이후인 2006년에 12만여건으로 가장 많았다. 부동산경기가 호황기였던 시기로 실거래와 투자 모두 활발하게 거래됐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서서히 거래량이 줄어 금융위기가 있던 2008년에는 5만8천여건까지 떨어졌다. 2009년에는 가격 상승 기대감에 대출규제 직전까지 거래가 이뤄지면서 7만8천여건이 거래됐고 올해는 작년의 절반 정도 수준으로 거래가 이뤄졌다. 경기가 좋지 않았던 올해, 서울 아파트거래량이 예년보다 크게 줄었지만 위기를 기회로 인식한 강남권 선호 수요자들이 저점에서 아파트를 사려는 움직임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작년 매매값 급등 아파트, 3곳중 하나는 서초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작년 아파트 값 많이 오른곳, 래미안반포퍼스티지 268㎡
2010년 수도권(서울, 경기)에서 매매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반포퍼스티지 268㎡였다. 부동산114(www.r114.co.kr)가 2009년 말 대비 2010.12.24 기준으로 수도권에서 매매가격 상승이 큰 단지를 집계한 결과 래미안반포퍼스티지 268㎡가 2억5000만원 올라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서초구 재건축 단지인 신반포(한신1차) 92㎡가 2억3500만원 올라 그 뒤를 이었다. 상위 10위권 단지를 살펴보면 신규아파트나 재건축, 주상복합 단지가 주를 이뤘다.

매매가격 상승 100곳 중 서초 가장 많아
지역별로는 매매가격 상승폭이 큰 상위단지 100개를 집계한 결과 서초가 총 34개로 가장 많았고, 분당과 판교를 포함하는 성남시가 13개, 강남구11개, 양천구 7개 순으로 많았다.

서초, 분당, 강남, 양천 등 버블세븐에서 가격 상승폭이 큰 단지들이 상당수를 차지했다. 침체기를 보였던 2010년 부동산시장이 하반기에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며 버블세븐을 비롯해 주택 선호도가 높은 지역이나 일부 랜드마크 단지에 한해서 가격 상승이 컸던 것으로 파악된다.

오래되거나 새아파트거나
입주 연도별로 보면 2008년 이후 입주를 시작하여 입주 2년 차가 채 되지 않은 신규아파트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전체 100개 중 22%를 차지했고 재건축 단지나 노후 아파트로 70년대 입주한 단지도 전체의 21%를 기록해 아주 오래된 아파트나 신규 단지의 가격 상승이 컸다.

매매불황 속 4분기 들어 재건축 강세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서울 재건축 시장 8.29 이후 오름세, 일반 아파트 여전히 (-) 변동률
작년 한해 매매시장이 불황을 맞으며 거래공백이 매우 컸다. 그러나 재건축아파트는 4분기 이후 빠르게 가격 을 회복하면서 불황속에서도 빛났다.
2010년 한해동안 ▼재건축 -3.07% ▼일반 -2.35%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8.29대책 이후로는 저가 매물 중심으로 거래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4분기 동안 재건축은 ▲1.39% 오르면서 강세를 보였다. 가격바닥론, 사업진척, 세제감면 혜택 등을 이유로 4분기 들어 저가매물의 소진이 활발해졌기 때문이다. 일반아파트에서도 저가매물이 소진되면서 회복세가 나타났지만 여전히 마이너스변동률을 벗어나지 못하는 처지다.

재건축 시장 강세분위기는 강남권 재건축 단지가 주축이었다. 개별 단지의 사업진척도 매매거래에 영향을 미쳤으나 가장 강력했던 것은 2010년 말까지 적용된 9억원 이상, 취등록세 50% 감면 혜택을 받기 위함이 컸다. 고가 재건축인 잠실주공5단지, 서초 반포·잠원지구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그러나 고가 재건축아파트를 중심으로 거래되면서 강세를 보이던 재건축 시장은 새해들어 별다른 움직임 없이 보합세를 유지하는 모습이다. 2011년에도 강남권 재건축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회복이 예측되지만 무리한 투자는 지양해야 한다. 무엇보다 국지적인 호재, 단지별 사업진척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투자자 모집 재개한 `용산 개발` … 땅값 1000억 확보할까

2월까지 4차 토지계약금 내야 … 5위권 건설사 2곳과 물밑 접촉단군 이래 최대 규모로 꼽히는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이 올 들어 투자자 모집을 재개했다. 새로운 투자자금 확보 여부가 향후 사업 향방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불발로 자금난을 겪은 대표적 대형 사업이었던 만큼 시장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1000억원 확보할까

4차 토지계약금은 3175억원으로 이 중 1600억원은 기존 매입토지를 활용한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발행으로 선납,나머지 1575억원을 마련하면 된다. AMC는 지난?1차 투자자 모집을 통해 사업참여 의향을 밝힌 LG전자,설비업체 김앤드이 등을 통해 최소 600억원을 확보했다. 올해 투자자를 새로 모아 1000억원가량의 지급보증만 확보하면 4차계약을 끝낼 수 있다.

◆지급보증 대신 부동산금융으로 돌파
4차 계약 이후에도 자금은 계속 필요하다. 땅값만 6조원을 더 내야하고 사업비(땅값 포함 31조원)도 조달해야 한다. AMC는 지급보증 방식의 PF를 최소화하고 자산 선매각을 통한 매출채권과 부동산리츠 등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매출채권은 시설매각과 분양으로 얻은 분양대금 중 계약금을 제외한 중도금 잔금 등을 담보로 대출받는 방식이다.

오는 9월께 코레일이 사들이기로 한 랜드마크빌딩 매입계약을 토대로 2조7000억원가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사업지 내 국공유지와 사유지 소유권을 담보로 2조원대를 조달키로 했다. 자산 선매각도 추진 중이다. AMC 관계자는 "랜드마크빌딩 외에 다른 오피스빌딩과 상업시설 등을 놓고 3~4개 국내외 투자자와 매각조건을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AMC 관계자는 2차 투자자 모집과 관련,"토목 자재 분야 등 7~8개 전문 시공업체와 접촉 중"이라고 밝혔다. 시공능력평가 5위권 내 건설사 2곳,중견건설사 2~3곳도 물밑 접촉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MC는 8월까지 개발계획을 최종 확정,내년 5월 착공한다는 방침이다.